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이스트 정신상담센터는 결번?...서남표 총장 “사퇴 안해”
서남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12일 최근 잇따른 학내 자살사태를 계기로 제기된 자신의 거취 문제와 관련, “지금은 사퇴할 생각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서 총장은 이날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사퇴 의향이 있느냐는 의원들의 질의에 “학교가 당면한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는게 급하다”며 이 같이 답했다.

그는 “총장으로서 이유를 불문하고 안타까운 일이 발생한데 대해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과를 드린다”면서도 “일부 문제가 있는 제도는 고치겠지만 학사운용 전반에 대해서는 잘되고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서 총장은 “부임 이후 추진한 개혁책때문에 자살 사태가 발생했다고 생각하느냐”는 한나라당 권영진 의원의 질문에는 “꼭 그것 만은 아닌 것 같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징벌적 등록금제’에 대해서는 “최근 학생들에게 얘기한대로 해당 제도는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공 과목을 100% 영어로 수업받는 제도는 한국어 강의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학생들의 정신상담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KAIST 사태는 정말 안타깝게 생각하고 유족들에게도 심심한 조의를 표한다”며 “서 총장의 거취 등 책임 문제는 법적으로 이사회에서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여야 교과위원들은 “학생 4명과 교수 1명이 목숨을 끊은 사태는 잘못된 학사 운영에서 비롯됐다”며 서 총장을 질타했고 민주당 의원들은 서 총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한나라당 권영진 의원은 “KAIST에서 운영하고 있다는 정신상담센터 전화번호마저 결번으로 나오더라”며 “감성교육에 소홀한 점을 인정하고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김유정 의원은 “자살 사태의 원인이 된 각종 학제를 도입, 운영한 총장이 1차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고, 김상희 의원도 “경쟁주의적인 ‘서남표식 개혁’을 끝내고 새로운 발전을 위해 물러나야 한다”고 압박했다.

헤럴드 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