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종창 ‘미스터리’
아시아신탁 2007년 등기이사

금감원장 취임전 全지분 매각

아시아신탁 작년 6월

부산저축銀 유상증자 참여

부실징후 모르고 참여했을까

지분 처분 과정도 아리송

김종창 미스터리다. 의문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금융감독원장까지 지낸 인물이 하필이면 일파만파 커져만 가는 부산저축은행 사태와 얽혀 있는 것부터가 이상하다. 평소 그의 스타일로 보아 찜찜한 일에 발 담글 인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놀랍다고 지인들은 입을 모은다. 의혹의 중심으로 떠오른 아시아신탁에 김 전 원장이 참여하고 빠져나온 과정엔 별다른 문제점이 없어 보인다.

1일 헤럴드경제가 아시아신탁의 최근 4년간 영업보고서, 주주변동 현황 등을 확보해 분석한 바에 따르면 김 전 원장은 2007년 법무법인 광장 고문으로 재직하던 시절 부인 권성자 씨 명의로 주당 1만원씩 4억원을 들여 아시아신탁 주식 4만주(지분율 4%)를 취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전 원장의 아시아신탁 주식 인수는 행시 1기수 아래인 이영회(행시 11회) 전 수출입은행장의 권유에 의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 전 행장은 당시 아시아신탁 대표이사 회장을 맡고 있었다. 2007년 7월 자본금 100억원으로 설립된 아시아신탁은 8개 금융회사의 출자가 이뤄졌으나 실제 소유주는 모 방송사 지방주재기자를 거쳐 모 일간지 편집국장 등을 역임한 정서진(57) 씨다. 등기이사로 등재된 정 씨는 3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신탁의 대주주 정 씨는 전남 진도, 이영회 회장은 전남 목포 출신으로 부산저축은행 대주주와 연고가 같다.

김 전 원장은 또 그해 7월 6일 등기이사로 등재됐으며 2008년 3월 26일 금감원장에 취임하는 즉시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등기이사 직을 내놓고 부인 명의의 주식 4만주도 전량 처분했다. 실제 경영에 관여한 것은 8개월여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김 전 원장이 지분을 정리한 뒤에도 이 회사 관계자인 정모 씨를 내세워 경영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으나 사실로 확인된 것은 없다.

문제는 김 전 원장이 금감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의 일이다. 김 전 원장은 원장으로 재직하던 올 3월까지 저축은행 부실 현황과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아시아신탁은 지난해 6월 부산저축은행 유상증자에 참여(89억원)했다가 이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당하기 직전인 작년 말까지 투자금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지분을 정리했다. 결국 김 전 원장이 아시아신탁의 증자참여와 그 후 지분정리에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가 의문의 핵심이다. 은진수 감사위원이 김 전 원장에게 로비를 했다고 증언한 점에서 그가 영향력을 행사했든 하지 않았든 의혹의 눈초리 자체를 피하기는 어렵다.

증자참여 과정에 관여했다면 김 전 원장은 부산저축은행의 부실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거나 파악했다면 최대 저축은행이 무너지는 파국을 막기 위한 조치를 한 셈이다. 어느 쪽이든 그간의 공직생활에 치명적인 상처가 된다.

하지만 아시아신탁은 부산저축은행과 부동산개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고 지역연고 때문에 증자에 참여했다는 분석이 좀 더 설득력을 가진다.

이 때문에 김 전 원장이 아시아신탁의 증자참여 후 지분 매각에 관련됐으리라는 의혹에 주목하는 이가 많다. 검찰은 김 전 원장이 특수관계에 있던 아시아신탁에 관련 정보를 건네 보유지분 매각을 권유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추측일 뿐이다. 검찰은 아직 이 부분에 대해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재섭 기자/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