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내 부정부패를 척결하라.”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그룹내 만연한 부정부패를 질타하자 삼성그룹은 물론, 재계 전체에 ‘투명경영’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각 회사별로 감사팀이 재정비되며 힘을 받고 있고, 직원들늠 행여나 꼬투리를 잡히지 않을까 염려돼 오해의 소지가 있는 식사, 골프 등의 약속을 모두 취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왜 기업들이 요즘 ‘윤리경영’에 목을 메는 것일까.
재계에서는 최근 기업들의 움직임이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고 보고있다. 지금까지 기업들은 ‘하청업체 가격 후려치기’를 비난하는 정부에 대해 숨을 죽인채 몸을 잔뜩 낮춰왔다. 이에 중소기업만 할 수 있는 ‘주력 업종’을 선정한다는 정부의 움직임에도 반발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현재 재계에서 화두가 되는 ‘동반성장’은 기업들에게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인 것이다.
이에 기업들은 분위기 전환용 이슈가 필요했고, 이것이 바로 ‘윤리경영’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 만연한 반기업 정서를 타계하기 위해 ‘정공법’을 쓴 것이라는 해석이다. ‘나쁜’ 기업이 ‘착한’ 정부에 의해 ‘재단’되기 보다 기업 스스로가 자정하는 모습을 보여줘 위기를 모면하겠다는 것이다. 즉 기업을 처단할 ‘칼자루’를 ‘정부’에서 ‘자기 자신’에게 가져오려는 의중이다.
또 조직내 비리는 곧 ‘비용’으로 환원되는 경우가 많다. 즉 비리가 많은 기업일 수록 쓸데없는 비용이 많아져 생산성이 떨어진다는게 기업들의 기본적인 생각이다. 따라서 조직내 비리 척결은 곧 생산성 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도 손해나는 장사는 아니다. 실제로 포스코는 신고로 인해 직접적으로 손실이 감소하거나 수익이 증대하는 비윤리적 행위를 신고하면 최대 10억원까지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즉 비리행위로 인한 생산성 훼손분의 일부를 ‘내부 고발자’에게 나눠주겠다는 취지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의 자정 노력으로 재계 전체가 ‘윤리경영’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 삼성그룹 뿐아니라 많은 기업들이 뼈아픈 자정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신소연 기자@shinsoso>
carrie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