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갤럭시S2’만 선전…IT랠리 견인 역부족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실적 평가 살펴보니
디스플레이 등 부진 통신부문 선방 평점 'B' 수준

LCD·반도체 회복 불투명…3분기 전망 ‘안갯속’




7일 나온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 실적에 대한 증권가의 평점은 ‘B’ 수준으로, 역시 예상대로 부진했다는 평가다.

이날 삼성전자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 39조원과 영업익 3조7000억원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43%, 전년 동기 대비 2.93%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25.42%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6.15% 줄어들었다.

증권가의 2분기 삼성전자 추정 영업익은 1개월 전 4조773억원이었지만, D램값과 LCD 부문의 약세에 따라 전일 기준 3조6592억원까지 내려왔다. 시장의 눈높이가 많이 낮아진 셈이다. 

수익성이 높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은 부진했고, ‘갤럭시S2’ 판매 호조로 통신 쪽은 그나마 선전해 매출 증가과 이익감소 현상이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한풀 꺾였지만, 3분기 이후 실적 전망이 하향 조정되는 추세이고, IT 경기 회복 기대가 실제 제품 수요의 증가로 나타날지 확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 주가 100만원 회복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하반기 실적으로 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상반기 6조6500억원에 이어 하반기엔 3분기 4조4500억원, 4분기 4조2200억원 등 올해 전체로 총 15조3200억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그런데 문제는 3분기 영업익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 점이다. 삼성증권의 3분기 영업익 전망은 한 달 전 대비 10.25% 낮아졌다. D램값의 약세 반전과 LCD 경기 회복의 불투명성 탓이다.

삼성전자뿐 아니라 국내 다른 주요 IT기업도 대체로 사정은 마찬가지다. LG디스플레이, LG전자, LG이노텍, 삼성전기, 하이닉스 등의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됐다. 그나마 삼성테크윈은 KAI 상장 효과를 등에 업고 51.95%로 높아졌지만 삼성SDI의 경우 0.87%로 사실상 제자리걸음이다.

이에 비해 미국 대표 IT기업들의 추정치는 올라가고 있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를 제외하고 애플, 인텔,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스(AMD) 등의 12개월 예상 주당순이익(EPS)이 한 달 전 대비 상향 조정됐다.

강정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IT 성수기에 들어서는 다음달 하순께 PC나 D램 출하량 등을 통해 수요 회복 강도를 가늠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그때까지 삼성전자는 95만원을 상단으로 한 박스권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전일 기준 10.9배로, 시장 PER 9.94배와 비교할 때 기술적 눌림은 상당부분 해소된 상태다.

<김영화 기자@kimyo78>
betty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