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은 많이 들였지만, 별로 먹은 것은 없는 한국인
한국인들이 먹는데 여느때보다 많은 돈을 쓰지만 실제로 소비한 량은 얼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거리 물가가 워낙 비싸서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명목가격 기준 소비지출 가운데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식사비 등 먹는 데 쓴 비용은 59만585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역대 1분기 최고 수치다.

지출 항목별로 살펴보면 쌀, 육류, 채소, 과일, 과자, 커피, 주스 등이 포함된 식료품·비주류음료가 32만2930원으로 1분기 사상 처음으로 30만원을 넘어섰다.

일반식당, 배달 음식, 커피숍, 패스트푸드 등 바깥 음식을 사먹는 데 든 비용인 ‘식사비’는 26만7655원으로 지난해 1분기(27만440원)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밖에서 사먹는 비용도 높아졌지만, 기본적으로 집에서 해먹는 비용도 크게 늘어났다.

하지만 가격 변동 요인을 제거한 실질 소비지출을 살펴보면 이야기가 좀 달라진다.

실질가격 기준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식사비 등 1분기 식생활비용은 47만3136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9년 1분기 다음으로 가장 낮았다.

이 가운데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4만6495원으로 역대 1분기 가운데 최저였고, 식사비는 22만6641원으로 역대 3번째로 낮았다.

물가상승으로 인한 부분을 제외하면 실제로 가계가 사먹은 양은 줄었다는 의미다.

통계청 관계자는 “1분기에 식료품 가격이 많이 올라 명목상 지출비용이 늘었지만 실제 가계에서 구입한 양은 줄었다”며 “돼지고기 가격이 50% 급등해 3번 살 것으로 2번으로 줄였다면 명목상 돼지고기 구입비용은 같지만 양으로 따지면 3분의 1이 준 셈”이라고 말했다.

이상기후로 가격이 급등한 채소류를 보면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1분기 채소 및 채소가공품에 지출한 비용은 명목 기준으로 17.4%나 급등했으나 실질 기준으로는 오히려 0.8% 감소했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