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사람> “장기기증자 보상보다 정신적 예우를”
국내 장기기증 1호 박진탁 본부장
물질적인 혜택 아닌 선행의 뜻 기려야

경찰에 신장 기부한 전과자 기억에 남아



국내 장기기증 1호로서 신장 하나를 떼어내고 20년을 넘게 건강하게 살아온 이가 있다. 바로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이하 본부)를 만든 박진탁 본부장이다.

박 본부장은 신장이식 문제가 없었냐는 질문에 “사람의 신장이 두개가 있는 이유를 아는가. 하나는 떼어 남주라는 거다”라며 웃었다. 박 본부장에 따르면 인간의 신장은 둘 중에 하나가 없어도 두 개가 있는 것과 똑같이 기능한다. 그는 “독일에서 헌혈을 많이 한 사람들 중에 빈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좀 더 많이 발견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살아서 장기를 떼어 주는 것도 그 정도라고 보면 된다”라고 덧붙였다.

박 본부장은 지난 1991년 1월20일 본부를 설립, 나흘 후인 24일 신장을 기증했다. 장기기증 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 본인이 가장 먼저 수술대에 오른 것이다. 그는 장기이식 1호일 뿐 아니라 공식적인 헌혈 1호다. 아주대병원서 목사로 있으면서 우연히 22살 젊은이에게 헌혈을 한 것이 헌혈운동의 계기가 됐다. 1968년부터 열정적으로 한 헌혈운동 덕에 1985년에는 피를 파는 매혈이 헌혈로 완전히 대체됐다. 그는 “당시 서울시내 빈 공간은 우리가 다 메운다는 마음으로 헌혈의 집을 만들었다. 광화문 지하도에 있는 첫 헌혈의 집도 그렇게 생겼다”고 말했다.

헌혈의 경우 가족끼리 나들이가서 혹은 데이트를 하면서도 하는 이들이 생길 정도로 거부감이 많이 사라졌지만 장기이식 서약에 도장을 찍는건 아직까지 사람들에겐 헌혈만큼 결정이 쉽지 않다. 일부 선 아직도 장기이식을 떠올리면 안구를 꺼내고 메스를 대 신장을 꺼내는 장면이 연상되기도 한다. 

 정희조 기자/checho@heraldcorp.com


이에 대해 박 본부장은 “땅에 묻혀 점점 썩어가는 자신의 시신은 어떤가. 화장할 때 불에 오그라드는 시신은? 죽음 후의 일이다.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에게 제 살을 떼어 주는 이식자들이 모두 뉴스가 되겠지만 박 본부장의 기억 속에는 특별한 사람들이 있다. 바로 감옥에서 바로 나와 장기기증을 하겠다고 나선 사람들이다. 소매치기 17범이 교도소에서 나와 경찰에게 신장을 기증한 일, 청송감호소에서 9년을 지낸 전과자가 기증 후 마취에서 깨자마자 “이제 사람 구실 했네”라고 했다가 이를 TV로 본 과부와 결혼한 일 등이다. 그는 “그분들은 죄를 씻는 기분으로 장기기증을 한 것 같다. 보람도 느꼈고 여러 생각이 교차하더라”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장기 기증자에 대한 물질적 보상을 비판하며 말을 끝맺음했다. 그는 “세계 어떤 나라도 기증자에게 보상을 해주지 않는다. 기증자의 선행을 기념하고 그 뜻을 기려야 한다. 헌혈 후 영화티켓을 주는 것도 문제 삼을 거다. 물질적 보상이 따르면 안된다”고 힘주어 말했다.

박병국 기자/cook@heraldcorp.com
사진=정희조 기자/che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