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가경쟁력 4년연속 추락…‘정치 후진성’ 뼈아픈 성적표
국가경쟁력이 매년 떨어지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평가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4년 연속 하락했다. 2007년 11위를 정점으로 2008년 13위, 2009년 19위, 지난해 22위로 떨어진 데 이어 올해는 24위다. 정치와 행정이 바닥으로 끌어내리는 걸 교육과 기업이 그나마 급락을 막아주는 모양새다. 노동시장의 효율성은 거의 세계 꼴찌 수준이다. 포퓰리즘이 횡행하는 판국이니 앞으로도 별로 순위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게 문제다.

WEF 평가는 3대 부문, 12개 세부평가 부문, 111개 지표로 구성됐다. 지표 중 80개는 설문으로 31개는 통계로 평가한다.

주요 3대 부문별 평가를 보면 제도, 거시경제 등 ‘기본요인’은 지난해 23위에서19위로 올랐고, 상품·노동시장 등의 ‘효율성 증진’은 22위, ‘기업혁신 및 성숙도’는 18위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그나마 인프라 분야가 작년 18위에서 올해 9위로, 보건 및 초등교육은 21위에서 15위로 크게 상승했다. 고등교육 및 훈련(15→17위)과 기업활동 성숙도(24→25위), 기업혁신(12→14위) 등의 지표에서 순위가 소폭 하락했다.




기업과 교육 분야는 그런 대로 선방한 셈이다.

반면 제도적 요인은 62위에서 65위로 3단계 밀렸다. 제도적 요인의 지표 중 정책결정의 투명성(111→128위), 정치인에 대한 공공의 신뢰(105→111위), 정부규제 부담(108→117위), 공무원의 의사결정의 편파성(84→94위) 등에서 다른 나라에 크게 뒤처졌을 뿐 아니라 순위도 밀렸다.

또 금융시장 성숙도에서 대출의 용인성(118→127위)과 벤처자본의 이용 가능성(98→100위), 은행 건전성(99위로 동일)이 취약점으로 꼽혔다.

노동시장 효율성의 세부지표에서 노사 간 협력이 전체 142개국 가운데 140위로 거의 꼴찌나 다름없는 순위를 보였다. 정리해고 비용(114→118위), 고용 및 해고 관행(115위로 동일)도 낙제 수준이었다.

이밖에 지표 순위 중 시장 지배(독점)의 정도(112→114위), 무역장벽 정도(111→118위), 외국인 기업 소유의 보편성(106→109위) 등이 낮게 평가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향후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선 제도적 요인과 노동·금융시장 등 3대 취약 부문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며 “시장독점도, 무역장벽, 외국인 기업소유 등 외국에 비해 경쟁력이 현저하게 뒤처진 것으로 평가되는 분야에 대한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체 순위에서 스위스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1위에 올랐다. 싱가포르는 1단계 올라 2위를 차지했다. 스웨덴과 미국이 한 단계 밀려 각각 3위와 5위를 기록했고, 핀란드가 작년 7위에서 4위로 도약했다.

아시아 국가 중 일본이 9위(작년 6위), 홍콩은 11위(11위), 중국은 26위(27위)를 차지했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윤정식기자0000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