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마을1축제>식재료 만으론 매력없어…밤줍기·백제문화 접목…‘문화의 場’ 으로 승화를
공주, 정안으로 들어서자마자 찻길 양옆으로 밤나무가 늘어서 있고, 방문했던 농장 인근은 산 전체가 밤나무로 가득차 있다. 전국 생산량의 6%가 작은 고장 정안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공주 알밤축제는 바로 이곳 정안에서 2000년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작은 규모로 시작되었다가 2004년에는 공주시가 이 축제를 받아서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축제에서는 밤을 이용한 각종 가공식품과 음식을 장터처럼 판매하고, 각종 공연이 열린다.

밤줍기 체험을 할 수 있는 농가가 소개되고 원한다면 농장에서 아이들과 밤줍기 체험도 참여해볼 수 있다. 그런데 아쉽게도 그것이 전부다.

알밤축제의 진면목은 밤 줍기와 같은 체험에서 드러난다.

제사 때 말고는 밤을 접할 기회가 없는 도심의 아이들에게는 밤나무에서 툭툭 떨어져 가시 속에 품어진 밤을 만지는 것만으로도 놀라운 경험이 된다. 밤을 이용한 어떤 축제가 열리려면 그 ‘살아있는 밤’과 연관된 경험이 핵심을 이루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밤줍기 체험은 축제의 공식행사도 아니고, 게다가 체험할 수 있는 장소는 행사장과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

밤축제가 열리는 행사장은 공주시내 공산성 앞 주차장인데, 이곳에서는 밤나무를 한 그루도 볼 수가 없다.

주차장에 늘어선 부스에서 판매되는 것도 각종 가공식품과 ‘밤짜장면’ 같은 음식인데, 원형을 잃은 밤에서는 사실 그닥 큰 감동이 전해지지 않는다. ‘살아있는 밤’이 ‘식재료’가 되버렸기 때문이다. 식재료라면, 그것이 상어의 지느러미라도 그리 감흥이 올 리 없다.

제수시장말고는 밤의 판매 용도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를 가공한 음식을 개발해 판매를 늘리려는 공주시의 집요한 노력에 찬사를 보내지 않는 바 아니다.

그것은 분명 중요한 전략 중 하나이다. 그러나 밤의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밤과 친해지게 해야 한다. 나무에 매달린 밤을 볼 수 있게 하고, 떨어져 반짝반짝 빛나는 밤을 만져볼 수 있게 하고, 맛있는 밤을 고를 수 있도록 알려주고, 밤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어찌보면 기본 중에도 기본인 체험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밤이 풍성한 그 계절에 바쁘고 신나는 농민의 모습에 이어 선별되고 저장되는 과정까지도 볼 수 있다면 더 없이 좋다. 돈 주고 불러온 연예인 말고 바로 그 농민이 흥겹게 노는 모습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진정한 지역의 축제, 마을의 축제임과 동시에 밤과 가까워질 수 있는 핵심이 아니겠는가.

10월의 이 시기에 보니 57회를 맞이하는 백제문화제와 마라톤대회, 향토연극제 등 공주 전역에서 각종 축제와 행사가 동시다발로 열린다.

활기를 잃어가던 옛 관광도시 공주가 또 이런 식으로 활력을 찾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다는 생각도 살짝 든다.

그러나 ‘원형’없이 돈으로 만드는 축제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다행히 공주에는 ‘백제’라는 수천년의 역사적 원형이 있다. 또 백제시대부터 즐겨 먹은 것으로 추정되는 ‘밤’이 있다. 그것을 잘 살리기 위해 새것을 만드는 전략은 적절하지 않다. 역사 속으로, 지역 속으로, 삶 속으로 들어가는 전략을 찾아야 한다. 백제와 밤에 담긴 ‘오래된 미래’를 발굴하는 일, 지금이라도 거기서부터 시작하기를 간곡히 바란다. 








변형석

<트래블러스맵 대표>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