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 포럼 - 송재우> 물값 인상 언제까지 미룰 작정인가?
수도시설 노후화탓 사고 급증
교체시기 놓치면 비용만 가중
미봉책 아닌 적정한 인상 시급
국민 설득해 물공급대란 막아야


정부는 1973년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고 울산 창원 포항 여수 구미 등 수출거점지역에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했다. 2010년 기준으로 입주기업체 수는 4239개에 이르고 이들 업체가 철강, 자동차, 조선, 정유, 화학 등 분야에서 하루에 생산하는 금액은 연간 262조원에 달한다.

이들 국가공단에 필요한 산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63년 울산공업용수도를 시작으로, 66년 창원, 68년 포항, 74년 여수공업용수도를 차례로 건설했다. 2010년 기준으로 연간 7억4000만㎥의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국가발전의 원동력은 충분한 공업용수 공급이 선행됐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러나 수도시설의 노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최근 수도 사고도 급증하면서 안정적인 용수 공급에 빨간불이 켜졌다. 전체 수도관 중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관은 22%에 달한다. 노후관 교체비용 마련을 위해서는 광역상수도 요금의 현실화가 시급하나 7년째 동결되고 있는 상태다. 노후관 개량이 제대로 안 되면서 관로 파손으로 물 공급이 중단되는 등의 수도 사고도 2005년 51건에서 2010년에는 104건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서울 올림픽선수촌아파트에서 23년 된 낡은 수도배관이 파열되면서 3000가구가 단수 피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적기에 노후시설을 고치는 것이 중요하다. 땅속에 매설돼 눈에 보이지 않는 수도관이라고 시설투자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로 인한 수도사고의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의 몫으로 돌아간다. 특히 국가산업단지의 대동맥을 책임지는 공업용수도는 매설 후 40년이 경과해 수도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은 상태다. 단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수조원 규모의 조업 피해가 불가피하다.

세계 대도시의 물 인프라 역시 노후화가 심각한 상황으로 수도관 부식에 의한 중금속 오염 등의 피해 규모가 대도시 평균 2000만달러를 상회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노후된 수도배관 등 시설에 대한 교체투자를 대폭 확대하는 추세다. 미국 오바마 정부는 2009년 그린 뉴딜 정책을 수립하고 전체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비 809억달러의 18.7%에 해당하는 151억달러를 물 인프라 복구에 배정한 바 있다.

앞으로 수도시설을 관리하는 공기업이나 지자체는 수도시설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지 정밀하게 진단하고 교체계획을 수립해 추진해야 할 것이다. 자칫 교체 주기를 놓칠 경우 수도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고, 교체비용도 몇 배로 들어가게 된다. 나아가 조업중단에 따른 생산차질로 국가경쟁력 제고에도 심각한 피해가 불가피하다.

다행히 광역상수도요금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전기요금의 16분의 1 수준으로 작은 만큼, 소비자의 최종 부담은 5% 인상 시 월 129원으로 매우 적은 금액에 그친다. 물 공급 대란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또한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미봉책이 아니라 적정한 물값 인상이 시급하며, 적극적으로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 국민들도 십시일반으로 재원부담을 해야 물 공급 대란을 미리 막을 수 있다는 공감대를 이뤄 나갈 필요가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