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11시 20분께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하의 단열공사 중 발생한 화재로 4명의 인부가 유독가스에 사망하고 십여명이 입원했다. 또 크레인에서 작업하던 인부가 대피 중 추락, 중태에 빠지는 등 인명 피해가 예상 보다 심하자 미술관측은 매우 참담해 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사고수습을 위해 발빠르게 나섰다. 나종민 문화체육관광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창경궁로 청사에서 긴급브리핑을 열고 “곽영진 제1차관을 중앙사고 수습지원본부장으로, 정형민 국립현대미술관장을 부본부장으로 한 중앙사고 수습지원본부를 미술관 과천본관에 설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사고 수습지원본부는 총괄반, 복구지원반, 사고처리반, 홍보지원반 등 4개 반으로 설치·운영된다. 총괄반은 현장상황 관리와 피해조사 보고 등의 업무를, 복구지원반은 인력 및 물자지원, 사상자 및 부상자 의료지원, 유관기관 협조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사고처리반은 보상대책과 유족 관리, 사고원인 조사 등의 업무를, 홍보지원반은 홍보·언론 보도협조 등을 맡을 예정이다.
13일 오전 경복궁옆 국립현대미술관 신축공사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크레인에 있는 인부들이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이상섭 기자. babtong@heraldcorp.com |
중앙사고 수습지원본부는 앞으로 건설사(GS건설), 소방방재청,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상황을 조기 해결하고 사고 피해자와 유족들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사후처리에 전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사고 원인에 대해 문화부는 “사고현장 수습이 끝나지 않아 세부적인 내용은 파악되지 않았다”면서 “현재 소방당국과 경찰이 진행 중인 정밀 감식이 끝나야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사 연기여부에 대해서도 “사고 수습이 끝난 후 정밀 안전진단을 통해 공사연기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며 “육안으로 판단하기에는 공사에 큰 차질이 없는 듯 보이나 구체적인 판단 또한 정밀 안전진단 결과 이후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년초를 목표로 건립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부지는 2만7303.1㎡(8259평) 규모. 이 부지에 지하3층, 지상 3층의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공사비는 753억원이며 건평은 3만4490㎡이다. 연면적 5만2627㎡에 지하3층~지상 3층 규모의 서울관은 내년 1월30일 개관을 목표로 공사 막바지에 돌입했으나 이번 화재로 개관이 늦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화재가 발생한 서울관은 지난 2009년 1월 이명박 대통령이 ‘한국에도 도심에 현대미술관이 조성되어야 한다. 옛 기무사부지에 국립미술관 분관을 조성하겠다’고 전격 발표하면서 건립이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근대건축물인 기무사령부 본관 건물(일부)의 보존 여부와 조선시대 종친부 건물 이전 등이 첨예한 대립 속에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문화재청은 근대문화 사적지인 기무사 본관과 종친부 건물은 이번 화재로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하는 한편 안전수칙 위반 등 위법행위 여부를 조사 중이다.
국립현대미술관 관계자는 “화재 범위나 피해규모를 가늠할 수 없어 공사가 얼마나 지연될지, 개관 예정일이 연기될지 여부는 아직 알 수 없으며 확인되는 대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yrlee@heraldcorp.com
사진=이상섭 기자 babtong@heraldcorp.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