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폭행 피해 여성들의 뇌(腦) 어떤 상태일까?
[헤럴드생생뉴스] 성폭행 피해 여성들의 정신 상태는 피해 전후(前後) 어떻게 변했을까?

성폭행 이후 피해 여성들은 뇌((腦) 혈류량이 떨어지고, 당(糖) 대사가 줄어드는 등 신체적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처음 확인됐다.

뇌 혈류량이 떨어지고, 당 대사가 줄어드는 것은 성폭행 당시 기억을 떠올리지 않으려는 피해 여성들의 행동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의 다양한 신경 생리학적 증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안영실 아주대병원 핵의학과 교수팀은 국내에서 성폭행(강간)을 당한 19~51세의여성 12명을 대상으로 뇌검사를 한 뒤 정상 여성 15명(32~53세)의 뇌 영상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성폭행 피해여성을 포함해 모두 2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뇌 영상을 볼수 있는 ‘단일광자단층촬영(SPECT)’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한 뒤 뇌영상분석프로그램(SPM2)으로 뇌 혈류량과 당 대사를 비교 관찰했다.

뇌 혈류량을 보는 것은 뇌혈관에 피가 얼마나 잘 도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고, 당 대사 검사는 당(糖)만 에너지로 쓰는 뇌가 이 에너지를 골고루 활용하는지를 분석하는데 활용했다.

성폭행 피해 여성들은 검사 당시 성폭행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진단을 받은 지 평균 9개월이 지난 시점이었다.

이 결과 성폭행 피해 여성들은 뇌의 좌측 ‘해마(hippocampus)’와 ‘기저핵(basalganglia)’ 부분의 뇌 혈류가 정상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뇌의 당 대사 기능도 정상 여성에 비해 좌측 해마, 상측 측두엽(superior temporal), 중심전회(percentral) 부위에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들 피해 여성들은 뇌영상에서는 심하게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등의 과다 각성상태도 관찰됐다.

안영실 교수는 “특히 두려움과 공포심 등을 관장하는 해마 부위에 뇌혈류량이 감소한 것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들이 나쁜 기억을 억누르거나 잊으려 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며 “결국 성폭행 피해여성은 피해 당시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2차, 3차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