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스마트폰 밖 앵그리버드…국내 매출만 1000억+α
모바일 게임 캐릭터 복합상품 대변신
이대형 대표가 ‘카페베네’와 제휴해 큰 매출을 올렸듯이 최근 게임업체들은 게임 밖 세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매출을 극대화하고 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자체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게임사들은 게임 캐릭터를 인형뿐 아니라 교육용 서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품화하는 데 주력한다.

대표적인 사례는 로비오의 앵그리버드다. 앵그리버드는 이미 업계에서 게임 이상의 복합문화상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전 세계에 팔려나간 앵그리버드 관련 상품은 2000만개가 넘고, 상품 종류도 2만개가 넘는다. 최근에는 영화와 TV 비디오로도 제작됐을 뿐 아니라 국내에서는 ‘팔도’ 등 식품업체와도 손잡고 캐릭터가 그려진 상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로비오는 이를 통해 국내에서만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딜라이트샵과 모바일샵에 위치한 앵그리버드 매직존에서는 앵그리버드 캐릭터로 꾸며진 아기자기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국내업체 중에는 게임빌이 눈에 띈다. 글로벌 히트작 ‘에어펭귄’을 탄생시킨 게임빌은 연내 에어펭귄의 캐릭터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에어펭귄의 캐릭터는 이미 미국, 유럽 등의 대형쇼핑몰에서 T셔츠와 인형 등으로 판매돼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국내 대형 마트에서도 인형으로 판매돼 좋은 반응을 얻었다. 게임빌은 향후 ‘에어펭귄’을 의류, 도서, 문구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해 부가가치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최근 선우엔터테인먼트는 최근 가장 ‘핫’한 아이템인 넥스트 플로어의 ‘드래곤플라이트’ 캐릭터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게임 ‘앵그리버드’의 국내 공식 에이전트인 선우엔터테인먼트는 이미 앵그리버드 속 새와 돼지 등 캐릭터를 상품화해 인기를 끌었다. 해당 상품은 내년께 출시될 것으로 보이며 봉제인형, 팬시, 완구는 물론 교육용 서적과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될 계획이다. 선우엔터테인먼트는 앵그리버드, 토킹프렌즈 등 콘텐츠로 캐릭터 시장 상품화 붐을 일으켰던 노하우를 살려 드래곤플라이트를 대중에게 좀 더 친숙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혜 기자/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