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요실금은 여성질환? 남성 요실금 환자 증가추세
대표적인 중년여성들의 질환으로 여겨졌던 요실금이 남성들에게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5년간(2007년~2011년) ‘요실금’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성 요실금 진료환자는 2007년 7,640명에서 2011년 8,545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2.84% 증가했으며 여성 요실금 진료환자는 2007년 12만4,183명에서 2011년 10만9,973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2.9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성 복압성요실금 증가, 여성은 출산횟수 감소 등으로 감소추세

요실금의 증상으로는 갑작스럽고 강한 요의에 의한 소변의 유출인 ‘절박성요실금’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고, 웃거나 강한 재채기 등으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흐르는 ‘복압성요실금’ 형태로 나뉠 수가 있다. 이외에도 환경이나 약물, 식습관, 신경장애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일과성요실금’ 형태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층에서 빈번한 ‘기능성요실금’ 등도 있다. 남성 환자는 증가하는 반면 여성 환자는 감소하는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이석영 교수는 “남성의 경우 최근 들어 전립선암에 대한 조기진단 치료가 증가하면서 전립선암 수술도 늘어나 이에 따른 복압성요실금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라며“여성에게서는 출산횟수가 감소한 것이 요실금에 대한 진료건수가 감소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여성들 자신들도 이에 대한 관심과 조기치료로 인해 최근은 예전보다는 감소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 요실금 발생원인에 따라 약물치료나 수술방향 결정

요실금 치료법은 원인에 따라 치료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원인을 면밀히 확인 할 필요가 있다. 절박성요실금 형태나 복합성요실금 형태는 배뇨일지를 통한 바이오피드백, 시간제배뇨, 수분섭취 제한과 같은 행동치료, 전기자극치료나 체외자기장골반치료 등이 있겠고 여러 약물치료가 있다. 이외에 복압성요실금은 면밀한 확인 후 케겔운동법이나 인조테이프를 이용한 요실금교정술, 요도주입 주사치료 등이 선호되고 있다. 주로 남성에게 생기는 요실금 형태는 노령층으로 갈수록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요실금형태나 전립선암으로 인한 수술 후 요실금 형태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보다는 약물치료를 선호하며, 여성들은 절박성요실금으로 인한 약물치료 보다 복압성요실금의 수술적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 분만후 체중증가로 인한 복압성요실금은 체중감량에 신경써야

먼저 자극적인 음식이나 술,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과량의 수분섭취는 조금은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성은 분만 후 체중증가로 인한 복압성요실금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극적인 체중감량이 필요하며 적당한 골반근육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노령 남성 환자일 경우는 초기의 전립선비대증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는 조기에 진단과 치료가 요실금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김태열기자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