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발레리나 김주원 ‘마그리트와 아르망’ 으로 돌아오다
LG아트센터서 4월5일부터 공연
항상 동백꽃을 지녀 춘희(椿姬)라 불렸던 마르그리트 고티에. 김주원이 화려한 파리 사교계의 동백아가씨로 돌아온다.

지난해 6월, 15년간 몸담았던 국립발레단을 떠나 홀로서기를 시작한 김주원이 프레데릭 애슈턴이 안무한 발레 작품 ‘마그리트와 아르망<사진>’을 4월 5일부터 7일까지 LG아트센터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영국의 전설적인 안무가 애슈턴의 서거 25주년을 기념해 한국에서 초연되는 ‘마그리트와 아르망’은 프랑스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의 사생아였던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소설 ‘춘희’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춘희’는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존 노이마이어의 발레 ‘카멜리아 레이디’ 등 다양한 작품에 영감을 준 소설이다.


애슈턴의 안무로 마고트 폰테인과 루돌프 누레예프가 1963년 처음 선보인 이 작품은 세계적인 수석무용수들에게만 공연이 허락된다. 마고트 폰테인 외에도 영국 로열 발레단의 타마라 로조,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ABT)의 줄리 켄트 등이 이 작품을 했다.

김주원은 러시아 볼쇼이 발레단과 로열 발레단에서 수석무용수로 활동했던 이렉 무하메도프, 미국 워싱턴 발레단 수석무용수 김현웅과 호흡을 맞춘다. 특히 김주원과 김현웅은 마그리트와 아르망의 애절한 사랑을 몸짓으로 표현한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사진제공=EMK뮤지컬컴퍼니]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