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입차 관련 잇단 제보…불공정혐의 80% 확신”.
공정위, 마진 적정성·담합·대기업 딜러 특혜여부 집중조사
“이미 현장조사를 나가기 전 혐의에 대해 80% 정도 확신이 있었고, 이에 대한 증거자료를 확보했다. 현장조사는 성공적이었다고 본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22일 “수입차업체에 대한 조사는 예전에도 간간이 있었지만 이번의 경우 워낙 다양한 제보가 들어오고 있어 조사 결과는 ‘종합선물세트’ 수준이 될 것”이라며 “추가 조사와 업체의 소명 등을 거쳐 4~5개월 후 결론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위는 지난 19일 국내 수입차 업체 빅4인 BMW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한국토요타 등에 조사팀을 파견해 현장조사를 했다.

공정위가 집중적으로 살피는 부분은 3가지 정도로 좁혀진다. 차량과 부품의 수입가격 대비 판매가격 마진의 적정성 및 담합 여부와 특정 대기업 딜러에 대한 특혜 여부, 월말 혹은 연말 재고 물량 밀어내기 등이다. 이미 업체 가운데는 이 같은 혐의 일부에 대해 ‘업계 관행’이라며 사실상 인정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공정위 관계자는 “국내 수입차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중소 딜러사를 중심으로 공정위에 제보가 빗발쳤다”며 “수입차업계 전반의 불공정 행위를 모두 들여다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입차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이미 반 년 이상 지속된 공정위 조사가 점차 범위를 좁혀올 즈음인 지난해 연말 한국수입차협회는 각 회원사에 공지를 했다. 앞으로 사별 실무담당자 미팅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외부에서 봤을 때 수입차업계 차원의 짬짜미(담합)가 이뤄질 수 있다고 판단되는 모임 자체를 공식화하지 않겠다는 것. 이후 마케팅ㆍ세일즈ㆍ애프터서비스 등 각 사 담당자의 실무 미팅마저도 공식적으로는 없어졌다.

한국토요타 등 일부 업체는 아예 수입차업계에서는 이례적으로 대관(對官) 조직 구성도 계획하고 있다. 대부분의 수입차업체는 국토해양부에 자동차 인증절차 담당자 1~2명 정도만 두고 있지만, 정부조직과 국회까지 담당하는 조직이 있어야 이번 공정위 조사건과 같은 일이 있을 때 사전에 대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입차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정위 조사가 새 정부가 출범하고 경제민주화나 경제원칙 등이 강조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됐다”며 “업체가 당장 억울하다고만 할 게 아니라 수입차업계에 대한 따가운 시선을 느껴야 할 때가 됐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정식 기자/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