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류팬, ‘지한파’ 로 성장하다…휠야ㆍ부세 “부산ㆍ야구ㆍ조용필이 좋아요”
“터키 돌아가면 한국생활 경험을 토대로 책을 낼 거예요. 대학원 들어가서 공부를 좀 더 하고, 10년 뒤에는 교수로 다시 올거예요. 그때도 부산에서 살고 싶어요.” “6월에 열리는 한국어 노래대회 우승이 목표예요. 한국에 또 올 수 있거든요. 그 후엔 유학이나 취업 계획을 세우려고요.”

드라마와 K-팝(Pop)을 즐기는 한류팬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또박또박’ 한치 오차없는 한국어로 꿈을 이야기한다. 미래속엔 모두 ‘한국’이 있다. 단순히 한류 마니아ㆍK-팝 팬이라고 하기엔 부족하다. 지난 15일 인사동의 한 음식점에서 터키에서 온 두 ‘지한파’를 만났다. 휠야 칸디미르(25ㆍ왼쪽)와 부세 하쉴라만(21). 현재 한국관광공사 아시아중동팀을 통해 3주간 한류체험 중이다.

“터키에서 한류에 빠지기 시작하는 나이는 보통 15세예요. 저도 10대부터 관심이 많았죠. 그러다가 한국어과를 가게 됐고, 남편도 한국 기업을 상대로 사업을 하죠. 우리 부부는 한국에서 살 계획도 세우고 있어요. 취미가 공부, 일이되고 꿈이 됐죠.”(휠야)

휠야는 앙카라대 한국어과를 졸업했다. 2009년부터 2년간 부산외국어대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했다. 그래서 부산 사투리가 더 편하다. 야구를 좋아하게 됐다. 롯데 자이언츠 팬이다. 자칭 ‘터키 갈매기’. 한국어 이름은 ‘김소망’으로 지었는데, “부산 김씨 경성대파”라며 넉살을 부린다. 공부는 부산외대, 유흥은 경성대 앞에서 즐겼기 때문이다. 


“이즈미시가 고향인데, 부산처럼 바다가 있죠. 그래서 서울보다 부산에 더 정이 가요. 자갈치 시장 ‘아지매(아주머니)’들이 파는 산낙지가 그립네요. 아 그맛, 장난이 아닌데….” (휠야)

반면, 부세는 한국 방문이 처음이다. ‘휠야 언니’처럼 터키 최고 명문 앙카라대를 나오지 못했지만, 표준어는 더 자신있다. 독학으로 한국어를 익혔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경희대에서 열린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에서 2등을 할 정도로 실력이 출중하다.

“드라마 보고 가요 들으면서 공부했어요. 친구들 사이에선 JYJ나 빅뱅이 인기 높지만, 전 이문세와 조용필을 좋아해요. 이문세 노래는 터키인 정서에도 참 잘 맞아요. 조용필 ‘여행을 떠나요” 불러서 상도 받았죠. 밥 먹고 같이 노래방 안가실래요?”(부세)

부세는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노래방부터 찾았다. 6월 대회에선 박정현의 ‘꿈에’를 부를 예정이다.


터키 한국문화원과 관광공사 이스탄불 지사를 통해 선발된 두 사람은 지난 2주간 오전에는 한국어 수업, 오후에는 전통문화 체험을 했다. 주말에는 정원박람회가 열리는 순천과 경주 불국사도 다녀왔다. 하지만 말하기 대회를 앞두고 있어서 마음 편히 즐기지는 못했다고. 특히, 이 기간 부세는 한국어 공부를 위해 뉴스도 꼼꼼히 청취했다.

“요즘 한국에 큰 일이 좀 많죠. 그래도 국민들이 지키고 감시한다는 느낌이 들어서 한편으론 부러웠어요. 터키에선 아직 그럴 수 없거든요. 이제 뉴스도 그만보려고요. 남은 기간 열심히 한국을 느껴야죠. 열흘 후면 떠난다는게 믿을 수가 없네요. 노래대회 1등해서 또 올게요.” (부세)

박동미 기자/pd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