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트홀릭> 기억과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오해’
흰 무명저고리를 입은 조선의 여인이 흐릿한 사진 속에서 포즈를 취했다. 도대체 왜 이렇게 초점이 안 맞은 걸까? 이것은 의도한 것일까, 아닐까?

이 작품은 한국과 유럽을 오가며 활동하는 사진작가 천경우(44)의 신작 ‘해석자들(Interpreters)’이다. 작가는 한국에 사진이 처음 도입되었던 100여년 전 인물사진을 구해, 독일 브레멘의 화가 10명에게 그리도록 했다. 그림이 완성되자 천경우는 초상화 10점을 연속적으로 촬영해 이 사진을 완성했다. 최초의 사진 속 조선여성과 100년 전 그를 찍었던 사진가, 유럽의 화가, 그리고 천경우까지 네 사람에 의해 완성된 흐릿한 사진은 ‘기억과 해석의 차이’에서 오는 오해에 대해 질문하고 있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100년 전 조선여인의 초상 사진을 유럽 화가들에게 그리게 한 다음 이를 연속 촬영한 천경우의 ‘해석자들’. c-print        [사진제공=갤러리 가인]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