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양적완화 축소가 부동산 회복세 ‘찬물’?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올해부터 본격화하고 있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국내 부동산 시장을 위축시킬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외국에서 투자한 자금이 급속도로 빠져나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고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을 확대시키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은 20일 ‘미 양적완화가 축소가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해 말부터 추진하고 있는 양적완화 축소(통화량 감소) 대책에 따라 국제 유동성이 줄어들면 국내에서는 이자율이 올라가고, 국내 주택 매매가격을 1% 미만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자가 오를 경우 변동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많이 받은 국내 가계는 이자상환 및 부채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집주인은 이에따라 파산위험을 세입자에게 전가할 가능성도 크다.

박기정 한국감정원 연구위원은 “이자율 상승이 매매가격 변동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1% 미만 수준”이라며 “주택담보대출자의 이자 상환 및 부채 부담 증가로 가계 부실, 은행의 원금회수 위험이 증가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감정원에 따르면 이자율이 1%포인트 상승하면 매매가격은 4개월 후 0.015%포인트 하락한다.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연체율이 상승하고 이는 급매물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금액은 481조원이다.

전세가격은 3개월 후 0.034%포인트, 월세가격도 2~3개월 후 0.016%포인트 각각 떨어진다. 집주인이 이자 상승 부담을 세입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박 연구위원은 “금리상승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주택매매시장 정상화를 통해 전월세시장 안정을 도모하고 취약계층의 주거안정 및 금융지원을 통해 가계부실 위험을 최소화하는 한편, LTV 규제완화로 비금융권 대출을 축소해 가계부채의 재무건전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지난해 12월 올 1월부터 채권매입 규모를 기존보다 11.8%(100억달러) 축소하기로 하는 등 유동성 축소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말엔 시중에 돈을 푸는 ‘양적완화’를 중단하고, 내년엔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박일한기자/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