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금융불안 헤쳐 갈 컨트롤 타워 돌아가나
글로벌 금융시장이 몸살을 앓고 있다. 근본적인 이유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완화 축소로 촉발된 신흥국 금융 불안에 있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상황이 불거졌다. 미국의 경기회복을 전제로 양적완화 축소를 단행했는데 회복세가 생각만큼 따라주지 않고 있다는 소식에 글로벌 시장이 화들짝 놀랐다. 거기에 지구촌 경제의 양축을 형성하는 중국의 예상 밖 부진이 불안감을 더 부추기는 모습이다. 그 바람에 지난 3일과 4일 세계 주요국 주가가 폭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요동을 친 것이다.

이 같은 글로벌 시장의 불안감은 일조일석에 해소될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적어도 올해 내내 계속될 것이다.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신흥국들이야 미국의 일방통행식 통화정책이 원망스럽겠지만 미국도 남의 사정을 봐줄 처지는 아니다. 위험자산을 팔아 안전지대로 철수하는 선진 자본의 행렬은 더 속도를 낼 것이고, 신흥국 경제는 살얼음판을 걸을 수밖에는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우리 경제가 위기의 소용돌이를 무난히 헤쳐 나갈 수 있느냐는 점이다. 한국 증시 역시 이틀 새 외국인들이 1조원어치의 주식을 팔아치우는 등 크게 출렁거렸다. 그러나 위기의 파장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과거 외환위기(1997년)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경제의 펀더멘털이 튼튼하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게 지난해 사상 최대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고, 외환보유액도 세계 7, 8위 수준이다. 일시적으로 변동성은 확대될 수 있지만 위기가 전이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방심은 금물이다. 세계 경제에 먹구름이 끼면 대외교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는 어떤 형태로든 불똥이 튈 수밖에 없다. 당장 신흥국 혼란이 한국 수출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통화위기가 실물로 번지면 우리 경제도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과민하게 대응할 일은 아니지만 긴장의 끈을 한시도 늦춰선 안 되는 이유다.

이럴 때 일수록 경제와 금융 정책을 결정하고 책임지는 컨트롤 타워가 제대로 돌아가야 한다. 양적완화 축소 이후의 중장기 금리변동,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된 가계 부채, 중소 수출기업 지원, 자본 유출 점검 등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일사불란한 리더십으로도 헤쳐가기 어려운 판에 신용정보 대량유출 사태로 경제팀의 신뢰도는 바닥이다. 경제당국의 비장한 각오와 책임감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경제컨트롤 타워 바로세우기에는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이 필수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