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원전 안전 거듭 일깨우는 후쿠시마 사태 3년
일본 동북부 해안지역에 대지진이 발생한 지 11일로 꼭 3년이 지났다. 세월이 흘렀지만 그날의 참사는 아직도 뇌리에 생생하다. 미야기(宮城)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진도 9.0 규모의 대지진은 초대형 쓰나미(지진해일)를 동반했다. 이로 인해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 오카와 초등학교는 전교생 108명 중 74명이 바닷물에 휩쓸려 목숨을 잃는 등 2만명 가까운 주민이 사망하거나 행방불명됐다. 경제적 피해는 17조엔(한화 180조원)에 이른다. 자연 앞에 인간의 존재가 얼마나 나약하고 무력한지 거듭 일깨워주고 있다.

특히 쓰나미가 후쿠시마(福島) 원자력발전소를 덮치면서 3ㆍ11 대지진은 그야말로 대재앙이 되고 말았다. 원자력 발전기의 냉각 기능 작동에 필요한 전력이 장시간 차단되면서 대량의 방사능이 흘러나온 것이다. 이 때문에 원전 인근은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없는 ‘죽음의 땅’으로 변했다. 지금도 27만명의 난민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임시 거처에서 지내고 있다. 이뿐이 아니다. 이 지역 어린이와 청소년 갑상샘암 의심 환자가 급증하고, 근력저하와 임신에 대한 두려움 등 2차 피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악몽은 지금도 진행 중인 셈이다.

문제는 한국도 더 이상 지진과 지진해일의 안전지대라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규모 2.0 이상의 국내 지진 발생 횟수는 93회로 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가장 많았다. 평년(평균 44.5회)보다 무려 2배 이상 빈번했는데 그 이유는 과학자들도 명확하게 밝히기 어렵다고 한다. 다만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의 지진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1993년에는 동해항 부근에서 최대 2.8m의 지진해일이 발생한 적이 있다.

무엇보다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은 원전 안전 대책이다. 후쿠시마 사태 이후 원전 안전을 둘러싼 논란이 국내외 가릴 것 없이 끊이지 않는다. 원전을 아예 사용하지 말자는 극단론조차 상당한 힘을 받을 정도다. 그렇다고 무작정 원전을 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석탄 석유 등 화석에너지 자원은 한정돼 있고,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대체 에너지는 상업 생산이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지금으로선 원전 말고는 달리 대안이 없다. 물론 원전 유지의 절대 전제는 안전이다. 어떤 돌발 사고에도 원전 안전만큼은 한 치의 문제가 없어야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다. 원전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인간이 자연재해를 비켜갈 수는 없다. 하지만 철저히 대비하면 피해는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