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공예, 밀라노디자인위크 간다
[헤럴드경제=이한빛 기자] 한국 전통공예 작품이 밀라노에서 전 세계인을 상대로 그 아름다움을 뽐낸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오는 4월 8일부터 13일까지 6일간, 밀라노 트리엔날레 디자인 전시관에서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4(Constancy & Change in Korean Traditional Craft 2014)’(이하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4’)이라는 주제로 한국 공예를 선보인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 전시다.

이 기간 중 밀라노에서는 매년 30만 명(외국인 19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밀라노국제가구박람회’와 ‘밀라노디자인위크’가 개최돼 전세계인을 상대로 한국공예의 아름다움을 전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밀라노디자인위크’는 가구박람회장을 중심으로 밀라노 시내 전역에서 패션, 전자, 자동차, 통신 등의 세계적 기업이나 국가의 전시관이 운영되는, 세계 최고의 트렌드 경연의 장이다. 한국공예전이 열리는 트리엔날레 디자인 전시관은 밀라노에서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며, 밀라노 디자인위크에서 반드시 방문해야 하는 장소로 손꼽히는 곳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금속, 나전, 도자, 섬유, 한지 등 한국 전통 공예 5개 분야의 공예장인(작가) 21인의 작품 174점을 선보인다. 도자공예 분야에서는 이강효 작가의 분청사기와 이기조 작가의 백자 작품들이 전시된다. 


한지 분야에서는 삼층지장을 선보인다. 한지장의 골격을 이루는 목공 작업은 중요무형문화재 박명배 장인이, 한지 배첩은 한경화 장인이 각각 맡았다.

섬유공예 부문에서는 김효중 침선장을 비롯한 9인의 한산 모시 장인이 함께 만든 한산모시 조각보 작품이 출품된다. 대형 설치 조각보를 비롯하여 손바느질로 만든 소형 조각보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조각보 100장이 전시장 가득히 드리워진다.

금속공예 분야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이봉주 장인의 방짜유기좌종(坐鐘) 작품을 선보인다. 좌종이란 범종에 비해 규모가 작은 앉은뱅이 종으로, 승가에서 사용하는 악기의 일종이다. 타종 시 울려나오는 웅장하면서도 여운이 긴 소리는 놋쇠를 두드려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나전칠기 분야에서는 임병시 작가가 뼈대인 백골을 만들고 황삼용 작가가 나전을 하나하나 끊는 기법인 ‘끊음질’로 만든 커다란 조약돌 모양의 스툴이 소개된다. 


전통공예의 문화적 가치와 현대적 의미를 조망한 작년의 전시에 이어 올해 선보이는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4’전은 지난해의 성과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갔다. 참여 작가와 출품작의 규모가 커진 것은 물론, 전통공예 전시로 주제의 심화와 확장에도 나섰다. 전통공예 작품을 통해 한국 문화의 미적 감각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 요소를 선보이고자 금속, 도자, 섬유, 한지, 나전 등을 선택했고, 전통적이면서도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활용한 작품들이 한국공예의 절제미와 단순미를 드러내는 현대적인 콘텐츠임을 보여주고자 노력하였다.

문체부는 이 전시를 위해 지난해에 이어 손혜원 예술감독을 포함한 기획위원회를 구성했다. 전시회 출품작은 위원회의 협의를 거쳐 선정했으며 전시의 주제와 연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문체부는 손혜원 감독이 지난해 전시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세계무대에서 우리 전통공예가 가진 가능성을 널리 알린 것을 높이 평가하여 올해에도 손혜원 감독을 예술감독으로 위촉하였다.

지난해 4월 개최했던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3’은 이탈리아 현지 언론과 유럽 지역으로부터 대대적인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또한 밀라노 전시를 참관했던 대만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초청에 따라 대만 국제문화창의산업박람회와 사우디아라비아 국립박물관에서 한국공예전을 개최한 바 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전시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우리 공예의 빼어난 가치를 해외에 널리 알리고, 우리 공예문화와 공예작가들의 국제무대 진출을 도울 수 있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vi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