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봄철이 중ㆍ노년층 여성 `무릎관절증‘ 발병률 높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중년층 이상의 무릎관절증 환자가 3월에서 5월사이에 가장 많이 증가하고, 특히 폐경이 시작되는 50세이상의 여성들에게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235만명에서 2013년 267만명으로 5년간 약 32만명(13.5%)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3.2%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9년 7,118억원에서 2013년 8,988억원으로 5년간 약 1,870억원(26.3%)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6.0%로 나타났다. ‘무릎관절증‘은 무릎에 염증이 생기는 모든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 등 관절의 노화로 인한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외상, 세균감염 등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무릎관절증이 있다.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무릎관절증’ 환자는 매년 3월 14.6%, 4월 4.0%, 5월 3.0%가 증가하여 봄철에 환자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약 72.2% ~ 73.7%, 남성은 26.3% ~ 27.8%로 여성이 5년간 평균 약 2.7배 정도 높았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이 36.4%로 가장 높았다. 전체 진료인원 중 50세 이상의 비중이 89.2%를 차지하여 ‘무릎관절증’ 진료인원 10명 중 9명은 중ㆍ노년층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50세 이상의 무릎관절증 진료인원 10명 중 7명은 퇴행성 관절염 등 관절의 노화로 인한 일차성 무릎관절증 환자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 남성은 30세 미만에서 60%의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이나, 여성의 비율이 30세 이상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50세 이상부터는 70%이상으로,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여성의 비중이 남성에 비해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폐경 이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분비가 급격히 줄어 골밀도가 감소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무릎관절증’의 3~5월 진료인원 증가는, 겨울동안 활동량이 적어 근력, 유연성 등이 떨어진 신체 상태로 3~5월에 조깅, 등산 등 무리한 야외활동이 원인인 것으로 추측된다.



- 정상 체중을 유지하여 무릎관절의 부담을 줄인다.

- 체중이 무릎관절로 전달되지 않는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의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 운동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 한 쪽 다리에 체중을 싣는 습관은 피해야 하며 등산, 에어로빅, 테니스 등의 운동을 하기 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무릎의 무리를 막는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