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계, 기본이 경쟁력이다> 현대그룹, 내실경영 고강도 혁신…올 흑자 기대감
현대그룹은 올 해 고강고 혁신을 통한 내실경영이 지상의 경영목표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도 올 해 신년사에서 “2014년은 완전히 새롭게 태어난다는 각오로 고강도 혁신을 추진해 달라”고 강조했다. 재무구조개선을 위한 자구계획안을 이행 중이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고 그룹의 기본을 다시 세우자는 의미다. 실제로 현대그룹은 지난 연말 자구계획안 발표 후 4개월 만에 계획의 절반 이상을 이행하는 등 빠른 속도로 정상화 되고 있다. 1분기 수익성도 대폭 개선되면서 올 해 흑자전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게 됐다.

현대그룹은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의 조기 턴어라운드를 통해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상선은 실제로 올 해 1분기에 전년 동기보다 매출액은 17% 증가했고, 영업손실도 52% 가량 개선되는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그룹은 올 해 고강고 혁신을 통한 내실경영이 지상의 경영목표다. 현대상선이 보유한 컨테이너선 모습. <사진 제공=현대그룹>

통상 컨테이너는 1분기가 비수기지만 현대상선은 수익성 개선을 위한 비용절감 등 적극적인 노력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손실이 크게 줄어드는 성과를 올렸다. 2분기부터는 컨테이너 운임인상이 가시화되고 있는데다 비용관리, 제휴사와의 협력강화, 벌크선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강화, 조기에 턴어라운드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장 긍정적인 신호는 컨테이너 운임 회복이다. 최근 현대상선은 지난달 운임인상에 이어 이달 15일에도 다시 운임을 올리기로 결정했다. 컨테이너 시장이 본격적인 성수기를 맞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따라 아시아~미주서안 노선은 FEU(40피트 컨테이너)당 300달러, 아시아~미주동안 노선은 400달러씩 운임이 오르게 된다. 이에 앞서 지난 5월 1일에는 아시아~유럽 노선에 대해 FEU당 1200달러를 인상했고, 중동노선도 운임을 600달러 높였다.

그룹 자구안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그룹은 지난 해 12월 3조3000억원의 선제적인 자구안을 발표한 이래, 현재까지 자구안의 60%인 2조원을 완료하며 빠르게 유동성을 확충해가고 있다.

현재까지 완료된 자구 실행을 살펴보면, 현대부산신항만 투자자 교체로 2500억원을 확보했으며, 컨테이너 매각으로 563억원,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현대오일뱅크 등 주식매각으로 총 1565억원, 또한 현대엘리베이터 유상증자로 1803억원, 금융 3사 매각방식 확정으로 2000억원을 조달했다. 최근 현대상선 LNG 운송사업부문을 1조원에 매각하는데도 성공했다.


박수진 기자/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