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몽구ㆍ구본무 총출동…한중비즈니스포럼, 양국 기업인 사상 최대 규모
-상의-코트라, 4일 오후 신라호텔서 ‘한중비즈니스포럼’ 개최

-정몽구 현대차 회장, 구본무 LG회장 등 재계 인사 170여명 참석

-리옌홍 바이두 회장, 마윈 알리바바 회장 등 中경제사절단 250명…역대 최대 규모

-양국 협력관계 구축 및 비즈니스 확대 계기…실제 투자 성사 될지 주목



[헤럴드경제=신상윤ㆍ박수진ㆍ서상범 기자] 역대 한국을 방문한 중국 경제사절단 중 최대 규모가 한국을 찾는다. 한국도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등 주요 재계 인사들이 나서 이들을 맞이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방한에 맞춰 한자리에 모이는 양국 기업인들이 어떤 선물 보따리를 풀어 놓을지 벌써부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한상의와 코트라(KOTRA)는 4일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하는 ‘한중비즈니스포럼’에 국가 간 비즈니스포럼 사상 최대규모인 420여명의 양국 기업인이 참석한다고 1일 밝혔다. 특히 중국 경제사절단은 중국 최대 검색포털기업 ‘바이두’의 리옌홍 회장,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 등 250여명으로 역대 방한 경제사절단 중 최대 규모다. 

왼쪽부터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국내 기업인들도 총출동한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구자열 LS그룹 회장,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등 주요 그룹 오너를 비롯해 권오준 포스코 회장,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한동우 신한금융지주회사 회장, 강호문 삼성전자 부회장, 김정래 현대중공업 사장, 지창훈 대한항공 사장 등 170여명이 참석한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두산그룹 회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GS그룹 회장) 등 경제5단체장도 참석한다.

이번 포럼은 양국 기업간 비즈니스 기회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직접 포럼에 참석하는 만큼 양국 기업이 기대 이상의 선물 보따리를 풀어놓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직접 만나 현재 중국 충칭에 건설 계쇡 중인 현대차 제4공장에 대한 논의를 나눌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4공장은 현재 중국 중앙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 만남이 중국 정부의 승인을 앞당기는 기폭제가 될지 주목된다.

구본무 LG그룹 회장도 시진핑 주석을 만나 중국 비즈니스 현안 해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구 회장은 LG전자ㆍLG화학ㆍLG디스플레이 등 주력 계열사의 현지 사업에 힘을 실어줄 것을 시 주석에게 당부할 예정이다. LG는 중국에서 톈진 자동차부품 소재공장 건설, 2차 전지 공장 증설, 광저우공장 8세대 LCD 라인 가동 등 현지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투자협력 MOU가 체결될 예정이다. LG화학은 난징시 인민정부와 에너지 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포스코와 충칭강철그룹은 파이넥스 공장건립을 위한 MOU를 체결한다. 지난 해 중국에서 체결한 MOA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전략적 협력 합의서를 체결하는 것이다. SK와 정웨이그룹, SKC와 TCL 등도 기업간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중국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과 옌타이시 정부는 중국 투자환경에 대한 설명을 통해 우리 기업의 대(對)중국 투자확대를 요청할 계획이다. 우리 측도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아모레퍼시픽 등이 나서 한국의 투자환경과 한국 기업의 중국진출 성공사례를 소개하며 중국 기업인들의 투자 확대를 당부할 예정이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그동안 한중 경제협력 논의 주된 내용이 한국의 중국 투자였으나 이번에는 중국의 한국 투자가 활발히 논의 되는 등 일방이 아닌 쌍방형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며 “지난 6월 베이징 현지에서 열린 한-중 포럼에 이어 1년만에 열리는 이 자리가 양국 기업인들의 경제협력 관계를 한층 더 다지는 계기가 될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상의는 포럼에 앞선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중 산업협력 포럼 및 교류회’도 개최한다. 중국 상무부 중국투자촉진사무국과 공동으로 여는 이 자리에는 한국과 중국기업 실무진 200여명이 참석해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갖고 양국간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