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두산, 연료전지 주력사업으로 키운다…美 업체 인수
-퓨얼셀파워 합병 이어 미국 건물용 연료전지 업체 자산 인수
-주택용-건물용 연료전지 원천기술 확보…연료전지 사업 본격화
-박용만 “연료전지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키울 것”




[헤럴드경제=박수진 기자] 두산그룹이 연료전지 사업을 본격화 한다. 사업형 지주회사인 ㈜두산은 최근 국내 주택용 연료전지 업체 ‘퓨얼셀파워’와의 합병을 결정한데 이어 21일 건물용 연료전지 원천기술 보유업체인 미국 ‘클리어엣지파워’의 자산을 인수해 미국 현지 법인 ‘두산퓨얼셀아메리카’를 출범시켰다. 중공업 전문 그룹으로 체질 개선 작업을 지속해온 두산이 연료전지 사업을 본격화하며 에너지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두산은 21일 미국 클리어엣지파워(ClearEdge Power)의 자산과 영업부채를 3240만 달러에 인수해 ‘두산 퓨얼셀 아메리카’를 출범시켰다고 공시했다. 지난 10일 주택용 연료전지 업체 ‘퓨얼셀파워’와 합병을 결정하고 미국 건물용 연료전지 업체까지 인수하면서 두산은 연료전지 연료전지 원천기술 풀라인업을 구축하게 된다.

㈜두산은 기존에 전자, 지게차, 굴삭기 사업 부문에 더해 연료전지사업부(BG)를 신설하게 된다. 신미남 퓨얼셀파워 대표가 연료전지BG를 맡게 되고 미국 현지법인도 이 BG에 소속될 것으로 보인다.

회사 측은 두 회사의 합병과 인수를 동시에 추진 함으로써 기술 및 시장 측면에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두산퓨얼셀아메리카는 정부 정책 등에 힘입어 규제용이 확대되고 있는 한국에 본격 진출할 수 있게 되고, 퓨얼셀파워는 미국 주택용 시장을 공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즉 두 업체가 기존에 갖고 있던 주력 사업의 경쟁력은 유지하되 보완 작용을 통해 새로운 시장에도 나설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두산은 건물용, 규제용, 주택용 연료전지 시장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 분야의 지난 해 세계시장 규모는 1조8000억원 수준이었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연 30% 이상의 성장세를 내다보고 있으며 2023년까지 최대 4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두산 관계자는 “㈜두산은 사업형 지주회사로서 그 동안 자산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잉여현금을 기반으로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사업 진출 기회를 꾸준히 물색해왔다”며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친환경 첨단산업인 연료전지 사업 진출은 이러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인수 합병하는 두 회사의 기술력에 두산의 비즈니스 역량을 더해 시너지를 높이는 동시에 연구개발에 집중함으로써 연료전지 사업을 향후 ㈜두산의 주력사업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퓨얼셀파워는 지난 2001년 설립된 주택 및 중소건물용 연료전지 제조사다. 지난 해 매출 170억원, 영업이익 37억원을 기록했다. 저온형 연료전지 기술 가운데 하나인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원천 기술을 갖추고 국내 주택용 연료전지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한국거래소 코넥스(KONEX) 시장에 상장됐다.

클리어엣지파워는 지난 2003년 설립된 건물용 연료전지 제조사로 미국의 건물용 시장과 한국의 규제용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지난 50여년간 연료전지 기술개발에 주력해온 UTC Power를 지난 해 인수하면서 원천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지난 5월 파산보호를 신청한 상태였으며 두산은 입찰에 참여해 최근 최종 인수자로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