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론전 강화하는 野…‘장외투쟁반대’ 목소리도 커져
[헤럴드경제] 새정치민주연합은 28일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위해 사흘째 장외투쟁을 이어가며 ‘여·야·유가족 3자 협의체’ 수용을 새누리당에 압박했다.

새정치연합은 전날 새누리당과 유가족대표단의 만남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끝나자 이날도 “여당은 더욱 긍정적 자세로 특별법 제정에 임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공세를 폈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상행동회의’를 열고서 상임위별로 서울 명동과 강남역으로 흩어져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선전전을 벌였다.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 등 지도부는 선전전 직후 그 시간까지 광화문에서 농성중이던 문재인 의원을 방문, 특별법 협상 상황을 의논했다. 문 의원은 “추석 전, 정기국회 전에 문제가 해결되야 한다”는 뜻을 박 원내대표에 전했다.

이처럼 장외활동이 종일 이어지고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참여도가 떨어지는 등 동력이 상실된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장외투쟁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당내에서 점차 커지고 있다.

장외투쟁 반대 입장을 이미 밝힌 일부 의원들은 당 행사에 불참하고 별도로 모여 대책을 논의했다.

모임에 참석한 김동철 의원은 “국회는 야당의 최대 투쟁수단이다. 국회를 버릴 수는 없다”고 말했고, 황주홍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장외투쟁을 지속하는 것은 여론을 볼 때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박 원내대표를 면담해 이 같은 의견을 전달했다.

그러나 박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야당은 피켓을 들 수도 있고 얼마든지 우리 생각을 국민에게 전할 수 있다”며 “국회를 떠났다고 강경투쟁으로 몰아갈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민석 의원도 트위터에 ‘장외투쟁 반대파’ 의원들을 겨냥, “사학비리를 비호하는 여당대표에겐 침묵하고 세월호 (참사로) 투쟁하는 야당 대표에게 총질하는 야당 의원들을 전문용어로 ‘빨대’라고 한다”며 “총질을 중단하라”라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은 ‘유민아빠’ 김영오씨와 문재인 의원이 잇따라 단식 중단을 선언, 장외투쟁 기조의 변화로 이어질지에도 관심이 쏠렸다.

일부는 문 의원이 ‘국회로 돌아가겠다’는 표현을 쓴 만큼 이번 단식 중단이 장외투쟁을 멈추는 계기가 되리라고 봤다.

그러나 다른 편에서는 ‘대열로 돌아가겠다’는 문구를 들어 “장외투쟁이든 아니든 당의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다만 지난 22일부터 광화문에서 단식을 해온 정청래 의원은 계속 단식하기로 해, ‘장외거점’이 아직 남았다는 의견도 있다.

장외투쟁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일단 이날 저녁 부동산정책을 주제로 ‘정책의총’을 열면서 예결위장 철야농성을 계속하기로 했으며, 30일에는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특별법 제정 촉구대회를 열기로 했다.

한편 박 원내대표 등은 이날 유가족 대표단과 면담을 계획했으나 유가족들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당 관계자는 “유가족 측이 상황 변화가 없어 할 얘기가 없다면서 오지 않겠다고했다”며 “일정은 내일 조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