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CEO칼럼-박철민> 귀농·귀촌, 무얼 선택할까
전원주택과 귀농ㆍ귀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귀농과 귀촌의 개념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양자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귀농은 도시에서의 일을 그만두고 농작물과 가축을 기르는 등 농업 경제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농촌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실질적인 도시민 유치사업의 목적이기도 하다. 반면, 귀촌은 직업을 도시에 둔 사람들이 도시로 출퇴근하거나, 주말마다 농촌으로 내려와 텃밭을 가꾸는 등 농촌에서 경제활동을 하진 않지만 가끔씩 농촌에서 전원생활을 만끽하는 모습을 말한다.

귀촌에는 여건에 따라 도시에서 경제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농촌생활을 조금씩 확대하는 ‘정착형’과, 도시로 아예 떠나는 ‘일시거주형’이 있다.

‘도시 활동형 귀촌’(정착형) 유형은 가끔씩 전원생활을 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경제활동은 인근 도시에서 이뤄진다. 이게 가능하려면 주택의 입지는 도시에서 1시간 이내면 접근이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 전철역세권이나 고속도로IC주변이 좋다. 이 유형에선 주로 고급전원주택에 대한 수요가 많다. 이 경우 필요한 총비용은 주택과 대지를 포함하여 상급지역 기준 10억원 이상이다. 택지는 3.3㎡에 200만원, 건축비는 3.3㎡당 500만원대 이상이다. 중급지역 기준으로는 3억원 이상이 필요하다. 택지는 3.3㎡ 100만원대 전후 건축비는 3.3㎡ 400만원대이다.

반대로 ‘도시 근교형 귀농ㆍ귀촌’은 중간형태다. 전문직, 은퇴자 퇴직자들이 주로 선택한다. 형태는 개별단독형과 단지형 등이 있다. 텃밭과 주택 및 대지를 포함해 투자총비용이 2~3억원 정도 든다.

최근 수도권 일대서도 정부의 귀농ㆍ귀촌정책을 시행하는 지자체가 증가하고 있다. 민간시장에서도 협동조합, 주택조합, 동호인 결성 등의 방식으로 전원생활에 뛰어들 기회가 늘어난 모습이다.

중앙정부주도형 협동조합, 주택조합 등 정부보조 지원사업은 지역별 주택조합을 구성하여 주택조합 마을사업 확정시 10~100가구 기준으로 단지 기반시설을 보조한다. 최소 5억에서 최대 35억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이와 별도로 각 지자체마다 동호인 주도형 마을(5~10가구 이상 주택조합)에 대해서 기반시설을 지원하기도 한다.

귀농ㆍ귀촌과 전원생활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유념할 것은, 필요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각종 지원책을 활용하는 것도 전원주택 재테크의 한 방법이다. 지역 주택조합으로 시작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를 최대한 저렴한 가격에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최근 부동산 침체를 거치면서 수도권 주변에 싼땅이 줄비하다.

둘째, 건축비 절감이다. 대지·주택을 포함해 1억~2억원대가 적정하다. 특히 근래 전원주택의 트렌드는 건축면적 49~99㎡ 정도다. 주택관리, 난방비 등을 감안할 때 부부가 실속있게 살 수 있는 수준이다.

셋째, 지나치게 외진 곳도 좋은 선택은 아니다. 의료, 보건, 복, 문화 기능은 필요할 때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생활에 비해 농촌생활은 불편이 많기 때문에 단독형이 자신이 없다면 주택조합을 선택하는 것도 추천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