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황해창 기자의 세상읽기> 김정일 3주기(周忌)에
북한 김일성 주석(1912.4.15.~1994.7.8)의 가문은 본관이 전라북도 전주(全州)입니다. 그러니까 김 주석은 전주김씨 시조 문장공(文莊公) 김태서의 32대손입니다.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평양시 만경대)에서 아버지 김형직(金亨稷)과 어머니 강반석(康盤石)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고 합니다. 조상 대대로 전주에 살다 부친 때 북한으로 이주한 것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전주김씨는 조선시대 통틀어 160명의 과거급제를 배출한 명망 성씨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조선을 건국하고 이끌어 온 이 씨 가문 역시 전주가 본관입니다. 아무튼 전주가 풍수 좋은 곳이라는 이유가 새삼 실감납니다.

그런데 북한은 김 주석의 본관인 전주에는 시큰둥합니다. 대신 백두산을 전설처럼 신격화합니다. 김일성이 항일운동을 펼친 본산이라는 이유에서 입니다. 후계의 정통성을 상징하는‘백두혈통’도 여기서 비롯된 것입니다.

김일성-김정일 부자 동상

북한 1세대 리더 김 주석이 84세를 일기로 사망하자 아들 김정일은 곧바로 얼굴 없는 ‘유훈통치’에 접어듭니다. 사실상 은둔입니다. 소련과 동구 붕괴에다 자연재해까지 겹치는 내우외환(內憂外患)으로 경제난이 최악에 이르자 택한 궁여지책인 셈입니다. 이 때 적게는 3년 많게는 5년을 ‘고난의 행군’시기라고 일컫습니다. 연간 굶어죽는 이들이 이루 헤아릴 수 없었다는 시기가 바로 이 때입니다.

이시기와 겹쳐 3년상(喪)을 마친 1997년 10월 김정일은 당 총비서로 추대되더니 이어 이듬해 9월 헌법 개정을 통해 주석직을 영구 봉안하는 대신 신설된 국방위원장에 겹 추대됩니다. 주석은 김일성만이 가질 수 있는 자리임을 강조한 겁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3주기 추모행사

곡절 끝에 막을 연 2대 세습은 군(軍) 우선의 ‘선군정치’로 일관하다 결국 경제난을 해결하지 못한 채 2011년 12월 17일 17년 만에 종지부를 찍습니다. 김 국방위원장이 69세에 사망한 때문입니다.

때마침 17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주기(周忌)입니다. 그런데 분위기가 예년 같지 않아 보입니다. 물론 김정일 시대의 업적을 칭송하고 기념우표도 발행하긴 했지만 들썩이지는 않습니다. 외국 인사들을 대거 초청하던 예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대규모 충성집회를 열긴 하지만 전과는 확연히 차이가 있습니다. 저들의 외침은 과거를 향하기보다 현재를 쫓습니다. 각종 매체들 역시 김정은 통치 선전에 더 공을 들입니다. 최근 완공된 초대형 시설물을 열거하며 현존의 치적을 노골적으로 조명합니다. 마치 과거를 월등히 능가한다는 식으로 말입니다. 더 놀라운 것은 군비 과부하에 시달린 선대와 달리 핵도 보유했으니 국방예산을 줄여 경제건설에 전념하겠다는 다짐도 엿보인다는 점입니다. 

3대 세습자 김정은 제1국방위원장

과거에 집착하기 보다는 미래를 지향하는 것은 옳고 현명한 일입니다. 하지만 지금 북한의 움직임은 이와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어 보입니다. 3대 세습 홍보가 허장성세(虛張聲勢)로 들리는 것은 저들의 폐쇄성 때문입니다. 열린 세계에 나오길 꺼려하는 고루함이 존재하는 한 과거를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핵으로 먹고살겠다는 전략부터 버리고 핵을 폐기하는 대가로 경제회생을 지원받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미래전략이란 걸 깨닫는 순간까지 갈등과 긴장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한반도 정세와 그 처지가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박근혜 정부도 딱하긴 마찬가집니다. 이제 이리저리 잴 시간이 없습니다. 뭔가 해내겠다면 적어도 내년 상반기 안에 해내야 합니다. 아니면 이미 늦습니다. 20년 새 두 번째 북녘의 3년 탈상을 보는 마음이 착잡하기만 합니다. 새해에는 뭔가 달라질까요? 

/hchw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