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 때문에 한숨짓는 흰우유…도대체 무슨 일이?
[헤럴드경제=최남주 기자] 과잉 생산 및 소비 부진으로 흰우유 재고가 누적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5월부턴 중국 수출마저 사실상 중단되면서 낙농가의 한숨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5월 우리나라에서 130℃ 이상 초고온살균법을 이용해 만든 우유의 유통기한이 자국 우유보다 긴 것 등을 문제 삼아 국내 우유 업체들의 수출 등록을 보류토록했다.

문제는 7월께부터 중국 수입검역 당국이 국내 유가공업체 생산시설에 대한 실사를 진행할 것이라 유가공업계의 기대와 달리 현재까지 중국 실사단의 방한조차 이뤄지지 않으면서 사실상 흰우유 수출이 전면 중단된 상황이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중국측 대표단의 방한 일정은 아직도 확정되지 않은 실정이다. 중국측은 실사단 인원, 여권발급 등의 이유를 들어 일정을 지연해왔고 정확한 일자에 대해 확답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원유생산 과잉과 수요 감소로 우유 재고가 12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상황에서 중국시장 진출에 기대를 걸고 있던 낙농업계는 크게 낙담하고 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관계자는 “지금 당장 중국으로 흰우유가 많이 수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장의 크기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할 때 수출 중단이 오래 이어지는 데 대한 아쉬움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국내 연간 우유 생산량이 220만t인데 비해 중국의 연간 흰우유 소비량은 1340만t에 이른다”며 “지금 우유 생산이 10만t 정도 초과공급돼 문제인데 중국 소비시장의 1%만 차지해도 해결될 문제”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최근 서울우유협동조합이 과잉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낙농가당 젖소 3마리씩을 도축하기로 했다”면서 “젖소가 젖을 생산하려면 2년은 키워야되는데 이러한 젖소 도축으로 국내 기반이 무너지면 기회가 다시 와도 수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관계자는 “흰우유 수출이 중단되면서 칼슘우유 등 강화유 수출로 방향을 틀었다”며 “중국이 흰우유에 대한 문제 제기를 신호탄으로 다른 우유에 대해서도 유사한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잘 해결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흰우유뿐 아니라 지난 7월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당시 주목받았던 국산 김치의 중국 수출 역시 재개되지 않았고, 국내산 쌀 수출도 지난 2009년 위험 분석을 요청한 후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다.

/calltax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