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칼럼> 슈바이처와 박종철
[헤럴드경제=함영훈 선임기자] 서울대생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있은지 28년 되는 14일은 ‘생명존중’의 철학을 실천한 공을 인정받아 1952년 노벨상을 받았던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가 탄생한지 140주년 되는 날이다.

“식인종이 나를 잡으면 나는 그들이 이렇게 말해주길 바랍니다. ‘우리는 슈바이처 박사를 먹었어. 그는 끝까지 맛이 좋았어. 그리고 끝도 나쁘지는 않았어. 괜찮았어’라고.”


엘리베이터는 자판기, 기차는 김밥, 수영장은 물만밥 등 식인종 소재의 우스갯 소리는 우리에겐 7080유머의 한 자락인데, 슈바이처 박사는 90세 되던 1965년 생을 마감하기 직전, 자기 묘비명의 문구를 손수 만들면서 식인종 유머를 쓴다.

‘청년기 어느 청명한 여름날 아침,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 조용히 생각해 본 끝에, 서른 살까지는 학문과 예술을 위해 살고, 그 이후부터는 인류에 봉사하기로 마음을 정했다’라고 자서전에 쓴 대로, 아프리카 의료봉사에 평생을 바친 ‘밀림의 성자(聖子)’ 치곤 이색 묘비명이 아닐 수 없다.

죽음의 순간까지 ‘나를 기꺼이 헌납한다’는 의미를 익살스런 표현으로 전했던 ‘봉사의 신(神)’슈바이처의 모습은 문득, “인간에 대한 봉사 보다 더 숭고한 종교는 없으며, 공동선을 위해 일하는 것이야 말로 가장 고결한 교의”라는 말을 남기고 실천한 말년 아인슈타인의 혀 내민 사진과 오버랩된다.

슈바이처는 20세기초 유럽 최고 반열의 오르간 연주자였고, 기독교 목회자이자, 노벨상 수상의 계기가 된 ‘생명 존중’ 철학의 사상가로서 숱한 연주회와 음반, 저술을 낳는다.

그는 아프리카 봉사활동 자금이 고갈되면, 연주회와 출판으로 돈을 모아 다시 아프리카로 향하는 과정을 거듭했고, 기차 3등칸을 타고 가서 받은 노벨상 상금은 나환자 퇴치에 썼다.


2015년 대한민국엔 아직도 식염수 대신 증류수를 환자에게 투여하고, 수술 자재를 넣은 채 봉합하는가 하면, 명백한 의료사고 조차 발뺌하는 의료인들의 얘기가 회자되고 있다. 생명을 경시하고, 탐욕을 부리며, 사슴 더러 말이라고 우기는 몇몇 사회지도층의 행태도 여전하다. 국민 저항을 낳았던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은 탐욕과 생명 경시 행태가 어우러진 비극이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빗나간 어른들도 청년기엔 아름다운 꿈을 키웠을텐데, 아직도 못된 유혹을 벗지 못하는 듯 하다.

‘태초에 행동이 있었다’라는 파우스트 한 구절은 슈바이처를 아프리카로 이끌었다. “잘 하겠다” 말 한마디 보다는 실천이 있어야만 청년의 꿈이 어른 되어 변절하지 않음을 슈바이처는 잘 말해준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