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최악의 가뭄, 4대강 논란 접고 활용방안 찾을 때
식수마저 조달이 어려운 극심한 가뭄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한강을 비롯해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 수계는 물이 넘쳐 난다. 서울을 비롯해 경기, 강원, 충청 등 중부권은 전국 단위의 기상관측을 시작한 지난 1973년 이래 세번째로 적은(153mm) 강우량으로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지만 이들 4대 강의 수량은 이와는 대조적으로 풍부하다. 수계별로 총 16개 보(洑)를 건설해 여름 홍수기를 포함해 비가 올 때마다 물을 저장한데다, 하천 바닥을 파내 가둬 둘 수 있는 물주머니의 크기가 당초보다 7억2000만㎥ 정도 커진데 따른 것이다.

문제는 이처럼 넘실대는 물을 옆에 두고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 논밭은 거북등처럼 쩍쩍 갈라지고, 농작물이 말라죽고 있다. 소방 헬기마저 물을 보충할 곳이 없을 정도로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런 판에 넘치는 4대강 물을 이용할 수 없다면 뭔가 단단히 잘못됐다. 이 사업에는 무려 22조원대의 혈세가 투입됐다. 그런데 수혜지역이 전체 농지의 17%에 불과한 4대강 본류 주변 일부라면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4대강 사업이 돈은 돈대로 들고 효율이 떨어진 1차 책임은 정권내 사업을 모두 끝내겠다는 이명박정부의 과욕에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극단적인 환경론자들과 일부 정치권의 무책임한 반대도 그 원인이 있다. MB정부는 당초 4대강 본류에 이어 지천도 정비하려했으나 이들의 극렬한 반발에 부딪혀 결국 보류했다. 홍수와 가뭄 극복을 위한 4대강 사업이 절름발이가 된 것이다. 지금 가뭄 피해가 특히 심각한 지역이 강원, 경북 북부, 경기 북부, 충북 등 4대강 지류 근처임을 감안하면 아쉬움이 많다. 논란과 실책을 접고 지천 정비 및 용수 이용 극대화 방안 등을 후속적으로 추진했다면 가뭄 극복은 한결 쉬었을 것이다.

치수(治水)와 이수(利水)는 국가의 기본이다. 더구나 7,8월 장마기간에 연강수량의 70%가 집중되는 우리의 현실에 비추어 수자원 빈국의 탈출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와 댐 건설외 대안이 없다. 활용 가능한 수자원 규모가 총량의 23%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지구온난화 등 이상 기온 역시 갈수록 극심해질 수 밖에 없다. 보다 많은 댐을 건설하고 수자원의 활용도를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 일본의 경우 230여 개의 다목적 댐을 건설해 활용하고 있는 데 비하면 우린 규모면에서 아직 초보적 단계다. 4대강 사업의 후유증은 줄이되, 홍수와 가뭄 피해는 최소화하고 편익은 최대한 증진시킬 항구적 대안을 찾아야 할 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