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메르스 진정국면, 승기 잡을 때까지 고삐 더 죄야
메르스 사태가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진정 국면으로 접어드는 양상이다. 산발적으로 신규 확진자가 나오고 있지만 감염환자가 속속 완치되고 격리자가 급감하는 등 추세적으로 일단 큰 고비는 넘겼다는 게 방역당국의 판단이다. 일각에선 사태 종식에 대한 논의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통상 바이러스성 전염병은 잠복기의 두 배가 지날 때까지 추가 환자 발생이 없어야 ‘완전 종식’된 것으로 본다고 한다. 최근 환자가 바이러스에 노출된 게 18일께라니 이론적으로는 내달 16일 정도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초동 단계의 안이한 대처로 우리 사회는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 특히 경제적 피해가 엄청났다. 그나마 이 정도에서 마무리될 수 있다면 여간 다행이 아니다. 최종 종식이 선언되는 순간까지 환자 치료와 추가 전파 방지에 한 치의 소홀함도 있어선 안될 것이다.

소를 잃은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외양간은 튼튼히 고쳐야 한다. 다시는 이처럼 허망하고 어리석은 일은 반복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는 허술하기 짝이없는 우리의 방역체계 민낯을 여과없이 잘 보여줬다. 국가간ㆍ지역간 교류가 활발해진 글로벌 시대에는 메르스와 에볼라처럼 우리가 알지도 못하는 질병이 언제 들이닥칠지 모른다. 빈틈없는 방역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화급하다는 것이다. 메르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방한한 세계보건기구(WHO) 관계자도 “신종 감염질병에 대한 방역체계를 근본적으로 다시 짤 것”을 우리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재난을 피할 수는 없지만 단단히 대비하면 피해는 얼마든지 최소화할 수 있다.

마침 22일부터 6월 국회가 각 상임위별 법안심사에 착수하는 등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정치권에서도 메르스 사태와 관련한 법 개정 움직임이 활발하다. 그 가운데서도 질병관리본부를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CDC)처럼 현장 상황통제 권한을 가질수 있도록 개편하는 방안 등이 눈에 띈다. 이번 사태를 통해 기민한 현장 대응의 중요성을 거듭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범 국가적 방역시스템 재구축을 위해서는 정치권의 적극적인 입법 지원은 필수다.

무엇보다 선행돼야 할 것은 국민들의 자발적 협조다. 아무리 훌륭한 방역 체계를 갖췄다 하더라도 국민 개개인이 따라주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이번만 해도 주변을 배려하지 않고 자가격리 통제 등에 비협조적인 사례가 적지 않았다. 보건당국은 통렬한 자성과 함께 드러난 문제점을 꼼꼼히 정리해 새 방역 질서 확립에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