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한 걸음 나아간 韓日관계, 과거사 털어야 의미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행사에 교차 참석은 양국 갈등 해소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취임 이후 과거사 갈등으로 다자회의 등에서 잠깐 만난 것 외에는 단 한 번의 정상회담을 갖지 않았다. 그럴 정도로 지금 양국 관계는 국교 수립 이래로 최악의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두 정상이 상대국 주재 대사관에서 마련한 행사 참석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관계 진전이라 할 수 있다. 실제 박 대통령은 주한 일본 대사관이 마련한 국교 정상화 리셉션에서 양국이 과거사의 무거운 짊을 내려놓고 미래 지향적인 발전을 위해 상호협력해 나가자는 점을 강조했다고 한다. 두 나라 외무장관 회담에서도 일본 근대 산업시설 유네스코 등재에 서로 협의키로 하는 등 화해의 동력이 높아지고 있다.

사실 한일 양국은 북 핵 문제를 비롯해 중국의 해양 패권주의 등 풀어나가야할 난제가 산적해 있다. 어느 때보다 머리를 맞대고 현안을 풀고, 미래 지향적 역할에 관심을 가져야할 중차대한 시기다. 그러나 아베정권이 들어서면서 과거사 부정과 독도 문제, 평화헌법 개정 등으로 양국간 갈등은 유감스럽게도 오히려 더 깊어졌다. 이번 정상들의 교차 참석이 관계 개선과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결정적 단초가 돼야 할 것이다. 돌이켜 보면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는 서로의 필요에 의해 이뤄졌다. 한국은 경제성장을 위한 종잣돈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반면 일본은 안보와 정치적 안정, 경제발전을 위해 이웃과의 화해가 필요했다. 하지만 일본이 식민지 지배와 위안부 문제 등은 덮어 놓은 채 경제적 지원만으로 모든 걸 매듭지으려 한 게 문제였다. 그동안 일본 핵심 인사들이 과거사를 부정하는 말과 행동을 반복하며 한국민에게 많은 상처를 줬다. 아베 정권만해도 과거의 반인륜적 범죄를 인정하고 사과는 커녕 엄연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도 부정을 서슴지 않았다. 물론 한국도 과거사 해결의 전제조건 제시 등 소통에 헛바퀴를 돌게 한 책임이 없지 않다.

한일관계의 새출발은 일본의 거듭된 반성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국민 감정을 녹여 화해의 디딤돌로 삼는 게 우선이다. 피해자의 앙금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 법이다. 위안부 문제를 인정하고 명실 상부한 보상을 통해 조속히 마무리 짓는 게 시급하다. 정부도 이번을 계기로 과거사 집착을 딛고 통일 협력, 시장경제 가치 공유, 북핵 대응, 재난 대처 등에 대응한 파트너 십 유지 방안을 적극 모색할 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