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팎으로 도전받는 ‘中 리더십’
“中증시 여파 금융불안·원자재시장 요동”
브릭스 회담서 각국정상들 비난 쏟아내



“금융시장이 불안하고 원자재시장도 요동치는 게 걱정된다”

지난 9일 러시아 우파(Ufa)에서 열린 제7회 브릭스(BRICs) 정상회담에서 참가국들이 쏟아낸 지적이다. 모두 중국 증시 폭락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중국’을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발언이다.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이번 회담의 ‘맹주’격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으로서는 제대로 체면을 구긴셈이 됐다.


중국을 제외한 브러스(브라질, 러시아, 남아공)는 모두 중국에 대한 원자재 수출이 국가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시 주석은 이같은 ‘갑(甲)’의 지위를 십분활용,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에 돈도 빌려주고, 투자도 해 중국의 영향력을 높이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의 정책을 펼쳐왔다. 그런데 최근 증시 폭락으로 중국 경제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을(乙)들의 원성을 받는 처지가 됐다. 미국과 유럽 등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서방에서는 중국 증시에 대한 우려를 계속 쏟아내고 있다.

나라 안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침체한 중국 증시를 되살린 것은 시진핑 정부 경제정책의 주요한 성과 가운데 하나다. 인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증시를 키우고, 외국자본도 유치해 중국 금융을 국제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결과였다. 특히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됐던 국영기업의 높은 부채를 자본으로 바꿔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작업 역시 증시부양의 주요한 동기였다.

그런데 증시 폭락으로 지난 1년간의 주가반등은 물거품될 위기에 처했고, 국영기업들은 재무구조 개선의 기회도 잃을 처지가 됐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정부에 대한 신뢰에 균열이 생긴 점이다. 중국 투자자들은 정부가 시장 불안을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최근 중국 정부가 취한 일련의 증시 대책은 문제해결보다 문제를 더 키운다는 지적이 많았다.

결국 지난 9일 거래통제라는 극약처방을 통해 주가반등을 이뤄냈지만, 안팎의 불만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는 시 주석의 독단적인 의사결정과 금융부문의 전문가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추진중인 반부패개혁도 차질을 빚을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반부패 척결 과정에서 시장친화적이고 경제에 대한 전문성이 높은 인사들이 대거 숙청됐기 때문이다.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친시장적인 인사들에 대한 숙청의 강도가 약해질 수 밖에 없다는 논리다.

밖에서도 시 주석이 주장했던 금융시장 개혁과 개방조치가 이번 증시 폭락 대응조치로 사실상 빛을 잃게 됐다는 평가가 많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 칼럼리스트 제임스 매킨토시는 상장기업 절반 가까이가 거래중단된 상태에서의 증시는 “사실상 붕괴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홍길용 기자/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