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식지않는 中경제위기론
“정부 고강도대책이 증시 왜곡


중국 정부의 고강도 대책에도 불구하고 중국 증시와 경제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대책이 반(反) 시장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부동산 버블과 실물경제 부분의 부진 등과 겹쳐 세계경제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이라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

가장 많은 비판은 강제적인 거래통제다. 1400여개 종목의 거래를 중단하고, 주요 대주주와 회사관계자의 주식매도를 막아 사실상 반쪽짜리 식물시장을 만들었다는 비난이다. 특히 이같은 거래통제는 결국 상장지수펀드(ETF)의 왜곡을 불러와 금융시스템에 심각한 타격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다행히 중국 증시의 폭락장을 피해 대피했던 거래정지 상장사들의 복귀가 급격히 늘어나고는 있다. 13일 상하이 213개사, 선전 34개사, 창업판(차스닥) 72개사, 중소기업판 40개사 등 총 359개사의 상장사의 거래가 재개될 예정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 증권당국이 거래정지 기업의 복귀 신청시 반드시 주가가 상승할만한 ‘호재’를 마련, 승인을 해준 뒤에야 거래재개가 이뤄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실제 앞서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증시 진정책의 일환으로 각 상장사에 주가안정화 계획을 마련토록 하자 655개 상장사가 지분 확대, 자사주 매입 등 계획을 발표했었다. 사실이라면 시장이 자율이 아닌 정부의 통제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반증이 된다.

중국 금융시스템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증시에 돈을 넣은 증권사와 보험사, 은행들의 손실로 이어져 금융 경색이 발생하는 시나리오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도 데이비드 추이 중국주식전략 책임자는 “금융위기 위험이 높아졌다고 말하는 이유는 시장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사실상 증권사와 은행, 투자자들에게 분배되기 때문”이라면서 “손실을 어떻게 나눌지는 매우 까다로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주가 폭락으로 중국의 소비자들이 대거 손실을 입으면서 소비 감소가 글로벌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의 주식투자 인구는 전체 가구의 10% 미만이지만, 최근 중국 자동차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는 점을 감안하면 소비에 미칠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번 증시 폭락이 아니더라도 최근 중국 경제는 경기둔화 조짐이 뚜렷하다. 그 여파로 교역이 감소하고, 원자재 수요도 크게 줄었다. 증시 폭락은 이런 충격을 가중시킬수 있다.

게다가 중국의 국영기업과 지방정부 등은 이미 은행들로부터 막대한 부채를 지고 있다. 은행들이 증시 폭락으로 타격을 입으면 지방정부 역시 그 충격에서 자유로울 수없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