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고착화되는 청년 고용절벽, 기업이 선제적으로 나서야
청년 실업이 한계 상황을 넘어서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실업자 수는 44만9000명으로 실업률은 10.2%에 이른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6월(11.3%)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전체 실업률(3.9%) 보다도 2.6배가 많은 것으로 그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간다.

하지만 실제 상황은 더 어렵다. 통계상 취업으로 잡혀있지만 아르바이트 등을 하면서 취업을 준비중인 ‘사실상 실업상태’의 청년이 무려 100만명에 이른다. 취업 경험이 전혀 없는 20~30대가 9만 5000명이나 된다는 노동연구원의 조사를 감안하면 청년고용절벽현상은 이미 현실화됐다고 봐야 한다.

문제는 이같은 청년 취업난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고착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내년부터 정년연장법이 적용되면 청년 고용의 벽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올해 30대 그룹의 신규채용 규모가 전년보다 6% 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전국경제인연합회 조사가 이를 잘 말해준다. 하지만 이를 풀어갈 방안도 달리 없어 보인다. 정부가 상생 대안이라며 내놓은 민간 기업 임금피크제 확대는 진척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노사정 합의가 결렬되면서 공기업에 제한적으로 반영되는 정도라 아직은 의미가 없다. 필사즉생(必死卽生)의 각오로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 미래마저 절벽 아래로 떠밀릴 절체 절명의 위기인 셈이다.

최근 미국의 스타벅스, 마이크로소프트, 월마트 등 대기업이 청년실업 해소에 적극 나선 것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 크다. 이들 기업은 오는 2018년까지 16~24세 청년 10만명을 정규직 또는 인턴·시간제로 신규 채용하는 이른바 ‘청년 백수 구하기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당장 내달 시카고에서 취업박람회를 통해 200명을 현장 채용하는 등 1000명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신규 채용규모 발표 등 보여주기식 말 잔치로 끝나기 일쑤인 국내 기업들에 비해 실행력이 돋보인다.

우리 기업들도 더 적극적이고 과감하게 일자리를 만들고 고용을 창출해 청년 실업 해소에 나서야 한다. 언제까지 정부와 노동계, 경제 여건만을 탓하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그게 기업의 사회적 책무이며 반기업 정서를 해소하는 길이기도 하다. 아울러 정부의 경제살리기 노력과 합리적이고 시대 흐름에 맞는 노사 관계 등이 뒤따라야 한다. 정치권 역시 경제 회생과 일자리 창출 관련 법안을 신속 처리하는 등 모든 역량이 청년 실업 해소에 모아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