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국정 파트너라면서 5개월만에 이뤄진 당청 회동
박근혜 대통령이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김정훈 정책위의장 등 새누리당 지도부를 청와대로 불러 당ㆍ청 회동을 가졌다. 박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와 만난 것은 지난 2월 유승민 전 원내대표 취임에 맞춰 회동한 이후 5개월여 만이다. 김 대표와 머리를 맞댄 것은 지난 4월 중남미 순방 출국 직전 독대한 이후 석 달 만이다. 김 대표는 지난해 7ㆍ14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뒤 박 대통령과 5분간 별도의 대화시간을 가진 이후 이번에 세번째 독대를 하게 됐다. 국정을 책임지는 공동운명체라는 당ㆍ청의 수뇌부가 한 해에 고작 2~3번, 그것도 여당의 새 지도부와 상견례라는 이벤트성 만남을 갖는 것이 우리 정치의 현 주소다.

이번 당ㆍ청 회동은 ‘유승민 파동’ 이후 박 대통령의 의중을 헤아린 김 대표가 청와대와 코드를 맞출 수 있는 2기 지도부를 라인업하면서 물꼬가 트였다고 봐야 할 것이다. 실제 원 원내대표는 “당과 청은 긴장과 견제의 관계가 아니라 소통과 협력하는 관계”라며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뒷받침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다짐도 했다.

이날 회동에서도 당 지도부는 박 대통령의 정치적 화두를 지원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 역력했다. 당 지도부가 여론 전달이라는 명분으로 기업 총수와 정치인을 포함한 ‘통 큰 사면’을 건의한 것도 박 대통령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기 위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사면권의 제한적 사용을 공약했고, 얼마전에는 ‘성완종 사면’ 같은 특혜가 없도록 제도적 보완을 하라고 지시했다. 이같은 원칙을 접어두고 사면의 폭을 넓히려면 여론의 뒷받침이 필요한데 당이 가려운 곳을 긁어준 셈이다. 화급한 현안인 추가경정예산 통과에도 힘을 쏟겠다고 한 약속도 같은 맥락이다.

경위야 어찌됐든 당ㆍ청 소통 채널이 이쯤에서 복원된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이 바뀌지 않는한 제2의 유승민 파동은 다시 일어날 것이고 그때 마다 당ㆍ청 관계는 정상궤도를 벗어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따지고 보면 이번 회동도 김 대표가 한 걸음 물러나면서 수습된 것이지 박 대통령은 이전과 달라진 게 없다. 국정 파트너인 여당의 지도부를 무릎 꿇리는 상명하복의 독선으로는 야당과 국회. 시민단체를 국정 개혁과제에 동참시킬 수 없다. 당ㆍ청 관계 복원이라는 한 고비는 넘었지만 박 대통령이 혼신을 다해 넘어야 할 고비는 야당과의 소통채널 회복이다. 이 관문을 넘지 못하면 박 대통령이 사활을 걸고있는 경제활성화 법안 국회통과는 요원하다. ‘소통 리스크’를 털어내야 국정도 순항할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