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朴대통령·기업총수 만남, 창업활성화 디딤돌돼야
박근혜 대통령이 대기업 총수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전국 17곳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이 마무리됨에 따라 대기업의 노력과 기여를 격려하고 센터 운영 방안을 논의코자 마련한 자리다. 박 대통령이 대기업과 정보기술(IT) 기업의 수장 17명을 한꺼번에 만나는 것은 취임 후 처음이다. 이전 두 번의 간담회가 있었지만 그 규모와 참석자의 면면에서 이번 만남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그만큼 혁신센터가 박근혜정부의 키워드인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전위대로서의 위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간담회에서 기업 총수들은 ‘3분 브리핑’을 통해 저마다 창조센터의 성과 창출을 위한 의지를 피력했다.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17개 센터에서 올해부터 2019년까지 향후 5년간 2조원대 규모의 창조경제 펀드가 조성된다는 내용이다. 기업이 출연하는 만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예산을 지원하는 매칭펀드 방식이다. 순차적이긴 하지만 2조원대의 펀드가 벤처에 투입되면 창업기업이 우리 사회의 아킬레스건인 청년실업난을 덜어주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정부와 기업, 지자체가 합심한다면 우리도 새 일자리의 3분의 2가 창업서 나온다는 미국처럼 되지 말란 법이 없다.

창조경제의 밑그림이 완성되긴 했지만 문제는 지속가능성이다. ‘기업도시’(노무현), ‘녹색성장’(이명박) 등 역대 정권들이 대기업의 등을 떠밀어 추진한 사업들이 정권이 바뀌면 없었던 일이 되는 국력 소모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게 관건이다. 그러려면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 상당수 대기업이 정부 주도의 지역배분에 끌려가며 ‘울며 겨자먹기’로 참여한 게 사실이다. 그러나 벤처를 키우면서 대기업도 신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상생의 길이 열린다면 정권을 뛰어넘는 영속적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에선 대기업이 성공한 벤처를 제값 주고 인수한다. 그 벤처는 매각자금으로 또 다른 도전을 하는 선순환이 자리 잡았다. 이런 풍토에서 애플이나 구글, 아마존 같은 거대 기업이 탄생한 것이다. 우리도 이런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

박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기업 총수들에게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와 노동시장 개혁에 재계가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다. 재계에 심기일전을 요구하려면 사기진작책이 필요하다. 마침 광복 70주년 사면을 앞두고 있는 만큼 기업인들이 박근혜정부의 임기 후반기에 함께 뛸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주기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