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기교육ㆍ소프트웨어 인력 확보가 ‘3D프린팅 붐’ 열쇠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신성장 동력으로 3D프린팅 산업이 각광을 받으면서, 이를 힘있게 끌고 나갈 인재 육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 활용이 중심이 된 국내 산업 육성책으로는 인력 양성에 한계가 있다며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 및 3D프린팅 관련 업계에서는 3D프린터의 활용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ㆍ운영 중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오는 21일까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3D 프린팅 창의성 및 전문 교육’을 실시한다. 일반인 및 3D 프린팅 관련 업체 재직자 및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열리는 이번 교육에서는 3D 프린터를 체험하고, 원하는 시제품을 제작하는 등 활용 교육 중심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전국 각 지자체 및 대학, 사설 중소 교육업체 등에서는 자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3D 프린팅 기술 활용이 가능한 인력을 키워내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성인 남녀를 주요 교육 대상으로 설정, ‘하드웨어’ 체험 위주로 짜여진 국내 교육 정책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3D 프린팅 산업은 대량생산 위주의 전통적 제조업이 아닌 아이디어ㆍ설계ㆍ디자인ㆍ제조가 결합된 ‘융합형 제조업’”이라며 “조기 교육을 통해 3D 프린터를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역량, 소프트웨어 구성 및 개발 역량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3D 프린팅 조기교육의 모범사례로 영국을 꼽는다. 영국은 최근 아이디어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3D 프린터로 직접 만드는 교육을 만 5세부터 정규교육 과정으로 편입한 바 있다. ‘영국의 잡스’라 불리우는 제임스 다이슨 다이슨(Dyson)사 창업자는 “미래의 혁신가들에게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는 교과 과정”이라고 호평했을 정도다.

국내에서는 3D 프린팅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반은 물론, 제대로된 3D 프린팅 강사 육성이 가장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일부 중소 3D 프린팅 관련 기업 자생적으로 세미나와 강좌를 시행 중이지만 역부족”이라며 “3D 프린팅 산업의 저변을 넓히기 위한 인식 제고외에 폭넓은 교육 프로그램 마련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