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퇴근 후 직장 동료와 같이 운동 안 한다”
- 응답자 10명 중 7명이 ‘개인 생활’…일과 중에도 건강지키기 요원해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평소 운동계획을 수립하는데 직장동료의 지지와 협조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정작 직장동료와 운동계획을 공유하는 것에는 부정적이라는 설문조사가 나왔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장석일)이 취업포털 인크루트(대표 이광석)와 함께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장인 사내 신체활동 실천여부를 설문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설문은 12월 7일부터 3일간 인크루트 홈페이지를 통해 총 663명이 참여했다. 남녀 각각 53%와 47% 비율로 참여했으며, 참여자의 79%가 직장인 및 개인사업자, 83%가 20~40대였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77%는 정시퇴근 배려, 점심시간 함께 산책하기 등 회사 사람들의 지지ㆍ협조가 운동계획을 실천하는데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퇴근 후나 주말에 운동을 하기로 계획했을 때 회사 사람들에게 운동계획을 얘기하는 편인지 묻자, ‘그렇지 않다’라는 답변이 62%였다.

그 이유로는 ‘개인적인 일정을 굳이 말할 필요가 없어서(73%)’가 압도적이었고, 뒤를 이은 ‘운동을 꾸준히 할 자신이 없는데 떠벌리고 다니고 싶지 않아서(10%)’와 큰 차이를 보였다.

[그래픽=운동계획 공유 않는 이유]

운동계획을 공유하는 이유로는 ‘특별한 이유는 없음(50%)’, ‘미리 말해야 야근 및 주말특근으로부터 운동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17%)’ 순이었고 동기부여나 운동정보 공유 등 긍정적인 답변은 극히 드물었다.

한편 업무 중 스트레칭을 하거나 복도를 걷는 등 사무실에서 가벼운 신체활동을 하는 직장인이 응답자의 64%를 기록했다. 그 활동도 개인에 한정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중 48%가 ‘일 외에는 서로 뭘 하든지 신경을 쓰지 않는 분위기’라고 답한 반면, ‘직원들의 신체건강 및 컨디션을 걱정하고 배려하는 분위기(17%)’, ‘업무시간 중 주기적인 휴식을 장려하는 분위기(12%)’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적었다.

사무실에서 신체활동을 할 때 주변인들로부터 눈치나 핀잔을 받은 사람이 17%였으며, 눈치나 핀잔을 받은 방식은 ‘무언의 압박, 간접적 표현 등(32%)’이 가장 많았고, ‘할 일이 없는가?(22%)’, ‘산만하니까 가만히 있어라(21%)’ 등 직접적인 지적을 받은 경우가 뒤를 이었다.

[그래픽=사무실 신체활동 가능 요인]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장석일 원장은 “최소 하루 일과의 1/3를 함께 보내는 직장에서 다 같이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으면 건강한 직장생활 문화가 정착될 수 없다”며 “팀 단위로 휴식시간을 정해서 함께 스트레칭을 하거나 업무시간 중 잠깐 회사 주변을 걷는 등의 단체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 원장은 또 “운동을 사적인 영역에만 두지 말고, 출ㆍ퇴근 시간 등 생활패턴이 비슷한 직장동료들과 운동계획과 정보를 공유해 동기부여를 받고 운동 실천률을 높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