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쟁점법ㆍ선거구, 오늘이 ‘마지노선’…정의화 “직권상정도 고민”
여야 지도부 긴급 잇단 회동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결국 여기까지 왔다. 오늘로 법정 시한(2015년 11월 13일)을 정확히 102일 넘긴 선거구 획정 이야기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가 24일부터 획정된 선거구를 바탕으로 ‘재외국민 선거인 명부 작성’ 작업에 들어가야 하는 것을 감안하면, 총선 연기 등 대혼란이 예상되는 시점까지 다달았다.

결국 마음이 급한 것은 임법부를 책임지고 있는 정의화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다. 현재 진행 중인 후보자 공천 일정은 문제없이 마무리 지으려면 선거구 획정이 필수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실에서 긴급회동을 가진 뒤 이동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새누리당의 공천일정을 관리하는 황진하 사무총장은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선거구 획정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상향식 공천을 하려면 최소한의 시간 필요한데, 절박한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정 의장의 마음도 편치 않다. 그 역시 이날 출근길에서 “오늘이 거의 마지막 날”이라며 “여야 원내대표의 회동 결과를 보고 연락하려 한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문제는 쟁점법안과 선거구 획정을 둘러싼 여야의 이견이다.

여당은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노동개혁 4법)을 “일괄처리 해야한다”고 주장하지만, 야당은 “선거구 획정 우선 처리”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여야 지도부가 쟁점법안에 대한 합의에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오는 23일로 예정된 본회의는 물론 그 이후(26일, 29일) 본회의에서도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 처리가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따라 정 의장은 “여야 지도부의 테러방지법 협상이 결렬되면 직권상정을 할 가능성도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고민하고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여야 합의가 없는 직권상정은 절대불가’라던 기존의 입장에서 한 걸음 물러난 셈이다.

한편 여야 지도부는 이날 다시 한번 회동을 갖고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 처리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직접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찾기도 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