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드 반발 中, 한반도 탐지 가능 초대형 레이더 운영
-중국 인터넷에 사진 등장


[헤럴드경제]한반도 내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배치를 강하게 반대하는 중국이 한반도 인접 지역에서 초대형 신형 레이더를 오랫동안 운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중국 관영 관찰자망에 따르면 헤이룽장성 솽야산의 한 항공우주관측제어소 부근에 있는 신형 지상 대형 전략경보 위상배열 레이더를 찍은 사진이 중국 인터넷에 등장했다.


이 레이더는 푸젠성 등에서도 누리꾼에 포착된 적이 있다.

관찰자망은 2014년 5월 촬영된 사진 속 신형 대형 전략경보 레이더의 외형이 미국의 조기경보시스템 페이브 포와 유사하며 탐지거리가 5500km에 달해 신형 AN FPS-132 페이브 포 레이더와 맞먹는다고 보도했다.

관찰자망은 탐지거리 3000㎞인 기존 7010형 레이더가 중국의 항공우주 발사와 미사일 경보 수요를 맞출 수 없게 되자 동북·서남·동남·서북 지역에 잇따라 신형 대형 전략경보 레이더가 설치됐다고 전했다.

레이더의 임무는 원거리 방공과 미사일 방어, 우주 목표물 감시 등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와 관련 해외 군사전문매체들은 중러 접경지역에서 불과 130㎞ 되는 지점에 있는 이 레이더가 중국의 미사일방어시스템을 구성하는 X밴드 레이더의 한 종류라는 분석을 제기했다.

헤이룽장성 레이더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며 러시아의 시베리아에 있는 미사일 기지에서 발사된 대륙간탄도미사일과 북극궤도로 발사되는 미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다. 미국의 알래스카 전체도 이 레이더의 탐지범위에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의 신형 위상배열 레이더 설치가 2011년 미군기지 등이 있는 오키나와에 설치된 J/FPS-5 대형 위상배열 레이더에 대응하려는 것으로 관측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