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간발전사, ‘춘래불사춘’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민간발전업계가 지난해 우울한 성적표를 받아든데 이어 올해도 실적 개선 전망이 불투명하다. 업계는 용량요금(CP) 인상을 요구하는 한편, 해외사업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민간발전사 ‘빅3’인 포스코에너지, SK E&S, GS EPS의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34% 감소한 474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역시 전년도 9조4461억원에서 31% 줄어든 7조2263억원에 그쳤다.

특히 GS EPS는 매출이 1조2090억원에서 6173억원으로 거의 반토막났으며, SK E&S는 영업이익 감소폭이 가장 컸다. 2014년 4699억원에서 2015년 2870억원으로 줄어든 것.

SK E&S는 타사와 달리 장기전력수급거래(PPA) 발전소가 없고, 원료인 LNG(액화천연가스)를 직수입하는 과정에서 저유가 영향으로 기존에 비해 수혜 폭이 축소된 것 등이 실적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민간발전업계의 전반적인 부진은 무엇보다 전력과잉 때문이다.

민간발전사는 생산한 전력을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전력시장에 판매하는데, 이들의 주력인 LNG발전소는 생산단가에 따라 가동 우선순위에서 밀린다. 이에 전력설비예비율이 높을수록 가동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LNG발전소 가동률은 2014년 1월 60.5%에서 작년 12월 40.6%로 19.9%포인트 떨어졌다. 정부가 2011년 순환정전 사태 이후 LNG 외에도 원자력과 석탄 등 기저발전을 대거 발전시장에 진입시키면서 전력과잉상태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민간발전협회 신임 회장으로 취임한 윤동준 포스코에너지 사장의 취임 일성도 업계의 어려움 해소에 맞춰져있다. 협회는 올해 ▷용량요금 인상반영 ▷정부승인차액계약 운영기준 관련 의견 개진 ▷REC(신재생공급인증서) 시장가격 대응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민간발전사가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은 CP 요금 인상이다. CP는 민간 발전사의 설비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발전사에 제공하는 고정비 회수용 지원금이다. 업계는 지난 1월 CP 기준요금이 1㎾h당 7.6원으로 0.14원 인상됐지만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산업부 역시 하반기 CP요금 인상을 검토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전은 마진율이 25%에 육박하는데, 민간발전사는 고사상태”라며 “지난해말부터 신용등급도 줄줄이 하락한 데 이어 추가 지원책이 나오지 않는 한 올해 상황도 비관적이다”라고 말했다.

국내시장에서 돌파구를 찾기 힘들자 해외에 적극적으로 눈을 돌리는 곳도 있다. 해외민간사업에 2014년 첫 진출한 포스코에너지는 해외에서 석탄화력, 부생가스발전 등에 주력하고 있으며, 현재 해외 발전용량이 총 4970㎿로 국내 발전용량인 4174.5㎿를 넘는 규모로 성장했다.

포스코에너지는 올해에도 지난 2월 베트남 응에안 성 뀐랍에 1200㎿급 석탄화력발전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지난달 이란 철강기업 PKP와 500㎿급 부생가스발전소 건설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의 성과를 냈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