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치 눈치보기 끝…조선·해운 구조조정-M&A ‘속도’
작년 조선 ‘빅3’ 5조 넘는 적자지역구 국회의원들 반발로 제동대우조선해양 처리 최우선 과제재무건전성 악화 해운업도 걱정
작년 조선 ‘빅3’ 5조 넘는 적자
지역구 국회의원들 반발로 제동
대우조선해양 처리 최우선 과제
재무건전성 악화 해운업도 걱정



국회의원 선거가 막을 내리면서 해운ㆍ조선업 등 ‘중후장대’ 산업이 긴장하고 있다. 선거가 끝나고 나면 국회의원들이 ‘민심’ 또는 ‘표심’을 구해야 할 유인이 급격히 떨어지는 탓이다. 국회 뿐 아니라 정부 측의 ‘좀비기업’ 퇴출 작업도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물밑으로 가라앉았던 인력 구조조정과 기업간 인수합병도 보다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업 결국은 ‘경제 논리?’=14일 조선업계 및 정부에 따르면 업황 악화가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조선업계에는 총선 이후 구조조정 및 합병 바람이 거셀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의 조선 ‘빅3(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는 5조원이 넘는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업황 개선까지는 적게 잡아도 수년 이상의 시일이 걸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업황이 극히 부진하지만 업종간 인수합병 등은 수면 아래 이슈였다.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지역구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매각이나 인수합병에 대한 반발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조선업은 산업 특성상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표 가치’가 크다. 국회의원 후보들이 너도나도 ‘조선업 살리기’를 공약으로 내건 것도 같은 이유다. 그러나 총선이 끝나면 ‘표심 구하기’가 4년 뒤로 미뤄진다. 이 때가 산업 구조조정의 최적기라는 것이 정부 측의 시각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조선업계가 현재대로는 지속가능이 어렵다. 구조조정을 안하면 다른 산업도 미래가 없다”고 말했고, 다른 정부 관계자도 “총선 후 산업계 구조조정에 나설 것이다. 조선업 부실 정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지난달에는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조선 빅3를 2개 혹은 1개로 줄여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선거 직전 울산 유세에서 ‘현대중공업에 더이상의 구조조정은 없다’며 지원했던 안효대 새누리당 후보는 낙선했다.

▶대우조선해양 어디로=조선업 구조조정의 최우선 과제는 대우조선해양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다. 대우조선해양은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다. 그간 대우조선해양은 매입 주체가 없어 매각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런데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방안이 거론되면서 업종 구조조정이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외신 ‘트레이드윈즈’는 최근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산업은행이 ‘경영 정상화 이후 매각’이라는 당초 방침을 바꿔 ‘조기 매각’으로 처리 방향을 바꿨다는 설명도 덧붙여졌다.

거제가 지역구인 새누리당 김한표 의원이 20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것이 조선업 업계 재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김 의원은 당선 후 소감을 발표하며 “정부에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도록 촉구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업황 구조적으로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김 의원의 역할이 어느정도가 될 것이냐가 관건이다.

▶해운업도 구조조정=수년째 이어지는 장기 불황으로 재무 건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긴 해운업도 총선 후가 걱정이다. 현대상선이 현대증권을 매각하고 채권단이 자율협약에 들어가는 등 회생 작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불완전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진해운도 재무진단 컨설팅이 마감되면서 산업은행을 중심으로 한 경영개선 방안이 수립될 예정이다.

한진중공업 역시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영도 조선소의 매각 여부 등에 대해 논의가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진중공업은 이달 말 자율협약 개시를 앞두고 채권단이 제시한 구조조정 이행을 위해 사무 직원들로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미 계획된 구조조정이지만 총선 전에는 크게 인력감축 등을 시도하지 않았다. 총선 이후 예정된 구조조정이 본격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대 관심은 역시 두 해운사의 합병 움직임이다. 이미 정부측은 두 회사를 합병하는 방안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두 회사가 모두 합병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합병 사안은 수면아래로 가라앉아 있지만 글로벌 해운사들의 합종연횡 바람이 이어지는 가운데 현재와 같은 체제로 해운업 유지가 가능하겠냐는 우려섞인 시각도 상존한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