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통시장에 새옷 입힌 현대차…광주 송정역전시장 100년만에 탈바꿈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광주의 100년 이상된 전통 시장에 새 옷을 입혔다.

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몽구)은 광주 광역시(시장 윤장현)와 함께 출범시킨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의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광주 ‘1913송정역시장’을 18일부터 본격 개장하고 기념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광주 광역시 우범기 부시장, 유기호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 현대자동차그룹 박광식 부사장을 비롯한 내외부 관계자들과 시장 상인, 방문객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는 ‘지키기 위한 변화’를 핵심 가치로 내세웠다. 단순히 시설을 현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특유의 문화와 사람들의 온기가 살아있는 전통시장 고유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침체된 전통시장에 문화, 디자인,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해 창조경제화 전통시장으로 변화시키고 청년일자리 창출, 지역 상권 활성화시키는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 프로젝트 기획은 강원도 봉평장을 성공적으로 리모델링한 현대카드가 맡았다.

우선 ‘송정역전매일시장’으로 불렸던 기존 이름을 ‘1913송정역시장’으로 변경해 100년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강조했다. 시장이 처음 만들어진 연도를 시장 이름에 넣어, 100년 넘는 시장의 오랜 역사를 알렸다. 점포의 역사를 알려주는 스토리 보드와 입점 연도 동판을 설치했으며, 오랜 시간을 상징할 수 있는 대형 시계를 시장 입구 벽면에 세워 이 지역을 대표하는 조형물로 자리잡도록 했다.

이와 함께 시장이 가장 활성화됐던 1970~80년대의 모습을 최대한 살려 그 시절을 추억할 수 있는 체험형 공간으로 탈바꿈, 총 55개의 점포를 리모델링했다. 각 점포의 외형과 간판은 옛 모습을 최대한 보존, 복원해 추억의 전통시장 거리 분위기를 만들었고, 거리 조명을 설치해 야간에도 마치 야시장을 연상케 하는 이색적인 볼거리를 만들었다.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나 현대화된 상점 대비 약점으로 갖고 있던 각종 시설들의 불편함도 개선했다.

시장을 찾은 방문객들이 KTX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내 최초로 역사 밖에서 해당 역의 실시간 열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광판을 설치했다. 또한 시장을 찾은 방문객들이 편하게 짐을 맡기고 시장을 둘러볼 수 있도록 무인 물품 보관소도 새롭게 설치했으며, 공중 화장실, 고객 쉼터 등 편의시설도 확충했다.

이와 함께 ‘1913송정역시장’을 문화와 젊음이 담겨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전통시장 본연의 강점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다채로운 이벤트와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20곳의 야시장 점포를 마련하고 매주 토요일 저녁에는 ‘토요 야시장’을 열어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거리공연과 접목해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는 “이번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새롭게 태어난 1913송정역시장은 지역주민뿐 아니라 젊은층과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광주 대표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서민주도형 창조경제의 성공 모델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