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카 환자 또 발생] 바이러스 전파 경로, 모기말고 뭐 있나?
realfoods
- 수혈ㆍ성관계로도 감염…질병관리본부, 지카바이러스 Q&A 자료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국내 두 번째 지카바이러스 양성 확진 환자가 해외에서 감염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지카바이러스 발생국 체류자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지카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한 수칙을 숙지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이미 질병관리본부는 지카바이러스와 관련해 인터넷과 사회연결망서비스(SNS) 등에 올라오고 있는 궁금증에 대해 질문과 답변(Q&A) 자료를 만들어 배포한 바 있다. 질본은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접하고 여행지에서의 모기 기피 등 관련 예방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주요 질문과 답변은 아래와 같다.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리면 발열 등의 증상이 최대 2년 뒤에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

- 전혀 사실이 아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 뒤 통상 2~7일 지나면 증상이 시작되고, 최대 2주안에 증상이 나타나므로 2주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는 안심해도 된다.

▷모기에 안 물려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감염경로는 어떻게 되나?

- 지카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파되며 사람간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는다. 다만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수혈받았거나 성적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가능성은 있지만 드물다고 보고 있다.

국내에서 헌혈은 해외여행 이후 1개월이 지난 후에 가능하므로 수혈경로를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임신부가 지카바이러스에 걸린 남성과의 성적접촉이 있었다면, 태아에게서 소두증이 일어날 수 있나?

- 환자와의 성적접촉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성적접촉을 통한 전염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근거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모든 임신부가 소두증이 있는 아이를 출산하는 것은 아니다.

▷지카바이러스를 옮기는 모기가 국내 살고 있나?

- 지카바이러스를 가장 많이 전파하는 이집트숲모기는 국내 살지 않는다. 다만, 국내 흰줄숲모기도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은 있다. 현재까지 흰줄숲모기가 바이러스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된 사례는 없다.

▷조만간 해외 출장을 가려고 하는데, 뉴스에 관련 내용이 많아 걱정스럽다.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발생한 지역과 나라는 어디인가?

- 최근 2개월 이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발생한 국가는 4월 22일 현재 45개국이다. 


현황표



산발적 발생국가는 최근 2달 이내 동일지역 내에서 10명 미만의 환자가 발생한 국가이며, 유행국가는 최근 2달 이내 ▷동일지역 내에서 1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했거나 ▷별개의 2개 지역에서 환자가 발생하거나 ▷2달 이상 발생이 지속되는 국가가 해당된다.

이들 발생 국가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travelinfo.cdc.go.kr)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지카바이러스 발생 국가로 태교 여행을 계획 중이었는데, 여행을 취소해야 할까?


- 임신부는 최근 2개월 이내 환자가 발생한 국가로의 여행을 연기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불가피하게 발생국가로 여행해야 하는 경우라면 여행 전 의사와 상담하기 바란다.

▷지카바이러스 유행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왔다. 혹시 감염됐을지 걱정이 되는데 증상이 없어도 검사를 받을 수 있나?

- 전문가들은 증상이 없다면 진단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다. 여행 후 2주 이내에 의심증상이 나타난다면 의료기관에 방문해 진료를 받으면 된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