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월 18일이 오면 반복되는 논란…‘임을 위한 행진곡’의 과거와 현재
[헤럴드경제=장필수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 여부를 놓고 정부ㆍ여당과 야당의 신경전이 펼쳐졌다. 국가보훈처가 16일 5ㆍ18 민주화운동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념곡으로 지정할 수 없다는 입장과 합창으로 부르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겠다고 발표하자, 야당은 “그냥 넘어가지 않겠다”며 경고했다. 5ㆍ18 기념식을 전후로 매해 반복되는 논란 속에 여소야대 국회의 협치가 시작부터 장애물을 만났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81년 5ㆍ18민주화운동 중 희생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당시 30세ㆍ남)과 노동운동가 박기순(당시 21세ㆍ여)의 영혼결혼식을 위해 작곡됐다. 이 노래는 이후 카세트테이프 복사본, 악보 필사본 및 구전 등의 방법으로 시민들에게 ‘민중가요’로써 빠르게 유포됐고 곧 5ㆍ18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대표곡으로 자리 잡아 추모행사에서 제창돼 왔다. 

5.18 당시 상황을 다룬 영화 ‘화려한 휴가’의 한 장면

그러다 1997년 5ㆍ18민주화운동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승격되면서 2008년까지 정부주관 기념식 본행사 말미에 기념곡으로 제창됐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9년부터 제창이 공식 식순에서 제외됐고 2011년부터는 제창이 폐지되고 합창단의 합창에 포함되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대정부 투쟁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1980년대 이후 민주화운동ㆍ노동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당시 ‘임을 위한 행진곡’은 시위ㆍ집회 현장에서 민주열사를 기리는 의미에서 제창됐고 이러한 현상을 놓고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정부를 향한 투쟁의 목적을 담고 있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이후 이 노래는 진보와 보수 세력 간 정치적 갈등의 발화점이 됐고 박근혜 정부는 ‘국론 분열’을 이유로 들며 합창이라는 형식을 고집하고 있다. 기념곡 지정 또한 ‘시기상조’라며 주저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은 이미 ‘임을 위한 행진곡’에 대한 판단을 끝낸 상황이다. 지난 2013년 강기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임을 위한 행진곡 5·18 기념곡 지정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고 결의안은 재석 200명 중 158명 찬성으로 통과됐다. 같은 해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대체할 별도의 기념곡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상태다. 

5ㆍ18 관련 단체와 시민사회는 ‘임을 위한 행진곡’ 5ㆍ18 공식 기념곡 지정과 제창 요구가 번번이 무산되자, 2013년부터 3년 동안 정부주관 기념식 참석을 전면 불참하며 별도의 기념식을 열어왔다. 한국 현대사 최대의 사건이자, 민주화의 변곡점으로 평가받고 5ㆍ18민주화운동이 대표곡 지정 문제 탓에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한 셈이다.


올해만큼은 국민대통합의 의미로 “하나의 기념식을 열자”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으나, 이날 보훈처의 결정으로 말미암아 올해도 5ㆍ18 민주화운동기념식은 양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essentia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