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갈 곳 없는 취준생들…1분기 경력직 채용공고, 신입의 3.8배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기업들이 신입보다 곧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하는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실제로 2016년 1분기 채용공고 4건 중 1건은 경력만 뽑는 공고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올 1분기(1~3월) 자사 사이트에 등록된 채용공고 61만2829건을 분석한 결과, 경력만 선발하는 공고가 전체의 22.9%로 신입만 선발하는 공고(6%)의 3.8배에 달했다. 이 밖에 경력무관은 50.4%, 신입과 경력 모두를 채용한 공고는 20.8%였다.

경력직만 채용한 공고가 많았던 업종은 ‘건설(38.2%)’이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제조/화학(35.5%)’, ‘기관/협회(28.9%)’, ‘IT/웹/통신(28.2%)’, ‘미디어/디자인(26.6%)’, ‘의료/제약/복지(24.1%)’ 등의 순이었다. 직종의 경우, ‘IT/인터넷(49.9%)’이 1위를 차지했으며 ‘디자인(39.3%)’, ‘건설(34.2%)’, ‘전문직(28.9%)’, ‘유통/무역(28.6%)’, ‘생산/제조(27.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신입만 채용한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미디어/디자인(7%)’이었으며 ‘건설(6.6%)’, ‘제조/화학(6.5%)’, ‘기관/협회(5.7%)’, ‘판매/유통(4.5%)’ 등이 그 뒤를 따랐다. 직종별로는 ‘건설(8.1%)’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생산/제조(6.9%)’, ‘미디어(6.7%)’, ‘유통/무역(6.4%)’, ‘디자인(5.8%)’ 등이 있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경력채용 공고가 신입채용 공고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은 불경기로 인해 비용절감과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업무에 바로 투입해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는 경력 채용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며 “기업들은 미래 핵심인재 발굴을 위한 투자와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는 차원에서 신입채용을 확대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여기에 기업의 부담을 덜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더해진다면 더욱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