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약업게 물고물리는 비리…의사들에게 거액 로비,약효과 부풀리기 만연"
[헤럴드경제]국제투명성기구(TI)가 올해 초 제약산업 부정부패 추방을 위한 중장기사업 시작을 선언한 이후 첫 성과물을 내놓았다.

‘제약산업 부패 실태-해결 과제들에 대한 진단’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엔 그동안 사법당국, 규제기관, 학계, 언론, 시민단체 등이 파헤치고 지적해온 구조적 비리와 부패 사례들이 종합적으로 거론돼 있다.

지난 2일 보고서가 공개된 이후 제약업계와 의사단체 등은 오류와 왜곡이 많고 의료계와 제약업계가 공동으로 의약품 개발과 건강 수호에 미친 공헌은 등한시한다면서 반발하고 있으나 TI는 ‘공은 공이고 과는 과’이므로 부정부패 추방 작업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끊이지 않는 제약산업 부정부패 사건들=TI에 따르면 거대 제약기업들의 뇌물과 부정부패 사례는 무수히 많으며 끊이지 않고 있다.

세계 최대 제약회사 화이자는 2004년 미국에서 허가받지 않은 용도로 약을 판 일이 적발돼 4억3천만달러(약 5천5백억원), 2009년엔 진통제 등의 불법 마케팅과 관련해 23억 달러(약 2조7천억원)의 벌금과 민사배상금을 각각 물었다.

2012년엔 동구권과 중국에서 관리·보건전문가·의사 등에게 뇌물을 준 일이 적발돼 미국에서 해외부패방지법(FCPA) 위반으로 4천100만달러의 벌금을 낸 것을 비롯해 각종 추문을 일으켜왔다.

2위인 존슨앤드존슨도 2013년 미승인 약품 판매로 22억500만 달러(약 2조3천억원)를 부과받은 것을 비롯해 유사한 불법부정 사례가 여러 차례 적발됐고, 3위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2012년 우울증약과 당뇨치료제 등의 효과와 안전성을 허위로 광고한 보건사기죄로 30억 달러(3조 4천억원)를 낸 지 2년 만인 2014년 중국에서뇌물공여죄로 30억 위안(5천100억원)의 벌금을 맞았다.

국내에서도 많이 쓰이는 고혈압약 치료제 올메사르탄(성분명)의 제조업체인 일본 다이이치 산쿄는 미국에서 의사들에게 이 약 처방을 독려하려고 2005년~2011년 거액의 불법 사례금을 뿌린 혐의로 기소돼 3억9천만달러(약 4천500억원)를 배상금으로 내놓은 바 있다.

사노피 등 다른 대형 업체들은 물론 중소제약회사들의 유사한 부정부패 사건들이 각국에서 끊이지 않고 있다.

▶임상 결과와 논문 저자 조작=업계 지원을 받은 항우울제 임상시험 논문 중 94%가 긍정적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고했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재점검했더니진짜로 긍정적 효과가 나온 건 51%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임상 데이터를 유리한 것만 선별 공개하는 일이 다반사이고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유명 의학자나 의사 등을 제1 저자로 내세우는 ‘유령 저자 논문’도 드물지 않다.

이는 업체 주도 연구에선 ‘흔한 관행’이지만 많은 학술지가 이를 제대로 감독하지 않거나 아예 검토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고 TI는 꼬집었다.

제약회사들은 특히 의사들을 겨냥한 판촉활동에 거액을 투입하는데 미국에서만 연간 420억달러(약 50조원), 의사 1명당 평균 6만1천달러에 달한다.

의사 대상 판촉엔 효과와 부작용이 같지만, 훨씬 싼 대체 약물이 있음에도 비싼약을 처방하도록 설득하는 일에서부터 강연 및 원고료 명목으로 큰돈을 주는 방법까지 다양하다.

일부 국가에선 제약회사 영업사원들이 임상시험 결과를 의사들로부터 수집해오는 것이 법규상 가능하며, 이때 해당 약을 처방하지도 않은 의사를 임상시험 참여자로 둔갑시켜 돈을 주는 일도 흔하다.

개도국이나 저개발국에선 의약품 제조 품질기준 자체가 미비하거나 규정이 있어도 감독 당국과 관리들의 묵인 속에 불법이나 편법으로 저질약을 생산 유통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