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사드 배치로 경제와 산업이 타격 받는 일 없어야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 체계 한국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의 반발 강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국과 미국 정부의 공식발표 직후 중국은 외교부 성명을 통해 ‘단호한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그것으로 부족했던지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직접 나서 “한반도 방위 수요를 훨씬 넘어서는 것으로 어떠한 변명도 있을 수 없다”며 비난의 수위를 한층 높였다. 왕 부장은 특히 “진짜 숨은 의도가 무엇인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는 말도 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에 대한 방위용이란 한미 당국의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주목되는 것은 이같은 고강도 발언이 중국 국내가 아닌 스리랑카 방문 중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왔다는 점이다. 방문국과 아무 관련 없는 문제를 작심하고 언급한 것은 그만큼 의지가 결연하다는 의미이다.

정작 불안하게 느껴지는 것은 강경 논조 일색인 중국내 여론이다. 국수주의적 성향이 강한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아예 한국을 직접 제재해야 한다는 내용의 사설을 게재하기도 했다. 사드 배치를 추진한 한국 관계자는 물론 관련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을 봉쇄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폈다. 이같은 여론이 계속 형성되면 우리 경제와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걱정을 감추기가 어렵다. 우리 수출시장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이 유무형의 압박을 가하기라도 한다면 그 감당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러니 우리 산업계도 바짝 긴장할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등은 임원들이 휴일에도 회사에 나와 비상대책을 강구하며 사태의 추이를 불안하게 지켜보는 등 부산한 모습들이다. 반도체의 경우 생산량의 절반 가량을 중국으로 내보내는 실정이니 그럴만도 하다. 외국인 관광객의 45%를 점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줄어들면 유통과 화장품 등 관련 산업이 큰 타격을 받을 수도 있다. 실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하나투어 등의 주가가 사드 배치 발표 당일 크게 떨어지더니 11일에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어떠한 일이 있어도 정치와 군사 국방 문제가 경제와 산업에 영향을 주어선 안된다. 정부가 더 적극적인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드 배치가 중국엔 실질적인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설명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 특히 이 과정에 미국이 함께 참여하도록 하는 다중적 외교 활동이 요구된다. 한편으로는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중국의 경제적 보복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